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공기 속 DNA로 곤충의 생태를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있다는 의미다. 로저 연구원은 “eDNA 분석은 말라리아 같은 전염병을 감시하고 탐지하는
데
도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열린 영국 생태학회 연례 학 술대회 ʻ국경을 초월한 생태’에서 발표됐다 ...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위한 발판을 만들고 국제 협업도 확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협약이 성사된
데
에도 천문연이 오랫동안 NASA와 공동연구를 해 온 경험이 큰 도움이 됐다. 현재 태양 환경과 관련된 프로젝트가 2개 진행 중이고 소행성 관련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심 선임연구원은 “천문연은 기존에 NASA와 함께 ... ...
우주 유망 직종 TOP4 짚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민간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국내의 경우 다목적 실용 위성을 활용하는
데
제한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04 달 기지 건설 프로젝트 민간 우주산업은 대부분 위성과 발사체를 타깃으로 삼고 있지만, 달과 같이 지구 너머를 꿈꾸는 기업도 있습니다. 달은 거리가 가깝다는 장점을 살려 ... ...
[인터뷰] “훌륭한 연구원을 넘어 독보적인 리더로”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사례를 다른 연구원에도 공유하고, 여성협회와 모성보호실을 개설토록 하는
데
힘을 보탰다. 그는 “여성들이 스스로 필요한 것을 조직에게 알리고 요구하는 자세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가 바쁜 일정에서도 열심히 다양한 기관의 여성을 직접 찾아가는 이유는 명확하다. “여성을 ... ...
[기획] 인공 눈 과학자가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5mm를 기록한 바 있어요. 큰 비나 눈이 내리기는 어려워도 산불 예방과 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엔 효과가 있을 거예요. 1~2mm가 어느 정도 양이냐고요? 넓은 면적에 내리면 상당한 양입니다. 충남 보령댐 전체에 1mm의 비가 내리면 무려 16만 t(톤)의 물이 담깁니다. 2 아이오딘화은은 안전한가?1979년 ... ...
[수학뉴스] 우주의 정보량을 알기 위한 수학자의 도전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50년 동안 많은 수학자, 과학자가 도전했던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식을 찾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어요.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IP 어드밴스(AIP Advances)’에 실렸어요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1장. 역설 속으로!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쿠르트 괴델은 매우 독특한 방법을 사용해서 거짓말쟁이 역설을 산술적으로 표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이로부터 ‘모든 수학적 체계에는 증명할 수 없는 명제가 존재한다’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증명했습니다 ... ...
[기획] 코로나 19 타임라인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확진자 0명!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를 팬
데
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선언한
데
이어, 28일 연속으로 추가 확진자가 나오지 않는 상황을 감염병 사태의 ‘종식’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언제쯤 종식이 가능할까를 묻는 서울시민 1000명 대상 설문조사에서 대부분이 2020년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 어디다 쓰냐고요? 우리 모두 쓰고 있습니다!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는 이처럼 우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수학적 지식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시험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 수학을 더 알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세요. ‘수헬리베 붕탄 질산플! 네나마~ 알규인~ 황~ 염 아 칼칼슘!’ 90년대 생인 기자는 ... ...
[특집] 외계인도 궁금한 알쏭달쏭 달력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1호
한 ‘양력’과 다르지요.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음력을 기준으로 여겼어요. 농사를 짓는
데
중요한 ‘계절의 변화’만 태양의 위치에 따라 구분했지요. 그러다가 1895년에 양력인 그레고리력을 공식 달력으로 정했어요. 우리나라는 아직도 명절과 생일 등은 음력으로 보내는 경우가 많아서 달력에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