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시
강시
동일시
동일화
같은시간
같은시기
동기
d라이브러리
"
동시
"(으)로 총 1,53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반재탁)가 맡았다. 날씨는 대체로 양호했고 쌍안경을 이용한 극한 등급 측정에는 3명이
동시
에 관측, 평균하는 방법을 취했다. 결과는 6.66개가 나왔으나 분석팀에 의해 7개로 정정됐다. 3명중 2명이 7개를 봤다면 7개로 취급해야 한다는 논리. 하산중 다리를 다치기도회동동 구월산에는 동아대(팀장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벼와 관련된 장 단기간내의 환경 사회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동시
에 국가적인 벼연구기관을 원조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의 창조와 전파를 목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략적으로는 국가 상호간 훈련연구를 통한 벼증산효과를 높이며 벼농사를 짓는 환경의 ... ...
5. 잠과 뇌파, 그 신비의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수면검사를 하면 환자는 장시간 수면을 지속하지 못하고 자주 깨며 정상인과 달리
동시
에 여러 수면단계의 특성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수면제를 복용한 경우는 지속적인 20~24Hz의 베타파가 잘 나타난다. 야간근간대증후군 때는 수면다원 검사상 20~40초마다 간헐적으로 한쪽 또는 양쪽 ... ...
3. 알파파와 바이오피드백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고 보고했다.알파증가훈련과 자콥슨의 점진적 근이완법을
동시
에 간질환자에 적용해보기도 했다. 이 두가지 치료로 3명의 환자가 모두 평균 92%의 간질감소를 보였다고 한다. 이때 세 사람의 알파파가 예외없이 증가했으며 그중 2명은 이상뇌파가 감소되었다. 찬반양론으로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가장 클 때가 4만8천년을 주기로 반복된다는 것이 밀란코비치이론의 첫번째 내용이다.
동시
에 그는 지구 회전축이 태양의 궤도면과 이루는 최소각도인 21˚39에서 최대각도인 24˚36'으로 변하는 주기가 2만5백년임을 밝혀냈다.지구 공전궤도에서의 타원이심률이 가장 크고 지구 자전축의 각도가 가장 ... ...
맞춤법교정 다양한 편집기능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문자와 그림의 화면
동시
편집도 가능하게 되었다.여러가지 형식의 그림을 화면에서
동시
에 편집할 수 있게 됐다는 얘기다. 1.52판에서 느껴지는 무미건조한 맛이 없어졌으며 간이 DTP(데스크톱출판)를 지향하는 듯한 인상이 강하게 느껴진다. 물론 본격적인 DTP용이라고 말하기에는 아직 무리가 많지만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
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지구환경문제의 핵심으로 여겨지는 분위기다. 그러나 '인간은 그의 환경의 창조자인
동시
에 피조물'이라는 스톡홈름 선언의 전문이 의미하는 대로 지구환경문제는 생태계의 일부분일 뿐인 인류가, 자기중심 개발로 망쳐온 지구를 돌이킬 수 없는 파국에 직면하기 전에 되살려 보자는 마지막 ... ...
손톱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치우치게 된다. 이럴 경우 발톱이 위로 올라가게 되고, 발톱 밑에 출혈이 생길 수 있다.
동시
에 발톱이 빠지기도 한다. 이런 식의 상처는 두번째 발가락이 엄지발가락보다 긴 사람들(4명중 1명꼴)에게 더 흔히 생긴다. 이 경우 발들을 짧게 깎고 발에 잘 맞는 운동화를 신는 것이 최상의 예방법이다.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주인공 목소리에서 도망갈 수 있을 것이다.새로운 미디어의 마지막 특성으로는 통신의 비
동시
성(asynchronicity)이다. 요즘 나오는 자동응답전화기나 팩시밀리가 기존 전화와 다른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수신자가 메시지를 받기 위해 전화기옆에서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즉 수신자와 송신자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관련되는 수술기법이 발달해온 역사이며 거부반응에 대한 의학적 이해와 극복의 역사인
동시
에 이식에 대한 사회적 반응의 변천사다.병들거나 손상 받은 장기 대신 건강한 장기로 대치하는 것은 외과의사들만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오랜 꿈이었다. 특히 사람의 신체를 일종의 기계로 보는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