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계
도안
입안
구상
착상
고안
복식디자인
d라이브러리
"
디자인
"(으)로 총 1,670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발은 단지 냄새나고 열등한 신체 기관이기만 할까. 26개의 크고 작은 뼈로 구성된 발. 평생 20만~40만km를 이동하고 3억번 가량 굽혔다가 펴도 이상이 없을정도로 튼 ... 연세대 의류과학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20대는 아직도 신발을 살 때 편안함(43.3%)보다
디자인
(54.2%)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 ...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있는 상황이었으니 말이다. 자리교환 반응을 본격적으로 활용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잘
디자인
된 촉매를 개발해야만 했다.선의의 경쟁촉매 개발 경쟁의 선두주자는 1972년부터 듀퐁의 연구원으로 일하던 슈록 교수였다. 그는 1974년 오늘날 ‘슈록카벤’이라고 불리는 일련의 금속촉매를 만들었다.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평소에는 잘 모르고 지내다가 어떤 상황에 처했을 때 불끈 하고 힘이 솟아나는 것을 느껴 본 적이 있나요? 일종의 초능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 모든 사람에게는 초능력 같은 힘이 존재합니다. 이번 호 스타과학자 역시 그런 초능력을 발휘하시는 분입니다.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초분자 물질을 연구 ... ...
2010년 '우주여객선'이 뜬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머물 수 있다. 2011년 첫 비행을 떠날 계획이다.연구진은 현재 클리퍼의 기본형을 만든 뒤
디자인
을 계속 개선하고 있다. 클리퍼는 기본적으로 나무 그루터기처럼 원통 모양의 땅딸막하고 두툼한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 파일럿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자동 조정 기능을 갖게 된다.클리퍼 ... ...
도둑 발목 잡는 철통보안 동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통한 범죄예방’의 영어 첫글자를 딴 용어다. 건축설계나 도시계획에 범죄를 방어하는
디자인
을 적용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종합적인 전략이다.초기 범죄학자들은 범죄행위는 인간 본성의 산물로 법규나 형벌을 통해 충분히 통제될 수 있다고 봤다. 그러나 범죄를 일으키는 인간 행동의 ... ...
디지털을 노래하는 스파이더맨 - (주)레인콤 대표이사 양덕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무작정 뉴욕에 있던 이노
디자인
김영세 사장을 만나
디자인
을 맡겼다. 레인콤과 이노
디자인
의 만남은 ‘기능’이 중요했던 MP3플레이어를 패션 상품으로 바꿨다. 결국 아이리버는 소비자의 감성을 파고들며 최고 인기의 MP3플레이어가 됐다. 레인콤은 지난해 매출 4540억원에 435억원의 흑자를 냈다. ... ...
베이 vs 타코마 다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다리에는 치명적이었지만 모이세프로서는 알 수 없던 것이었다.타코마 다리는 새로운
디자인
을 도입할 경우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을 동반할 수 있음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가 됐다. 검증되지 않은 설계의 다리를 19개월 만에 완성한 모이세프에게는 베이 다리 자문위원회의 치밀함이 결여돼 있었던 ... ...
소음 없는 비행기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때 마치 극장에 있는 것처럼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콜린스 박사는 “이 비행기의 첫
디자인
은 1년 안에 완성될 계획이며 10년 안에 테스트 모델이 만들어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이 프로젝트는 케임브리지-MIT 콘소시엄이 지원하고 있다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있다. 공포영화나 놀이공원이 공포반응을 이용한 문화산업의 대표적인 예.한성대 미디어
디자인
컨텐츠학부 지상현 교수는 공포반응을 건축에 활용한 사례로 베란다를 꼽는다.“사람들은 전망이 좋은 집을 고르죠? 전망이라는 건 암묵적으로 자기 영향력이 미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해요. 전망이 ... ...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얼굴인식세포가 아무 일도 못하는 상태니까요.”미술심리를 연구하는 한성대 미디어
디자인
컨텐츠학부 지상현 교수는 이렇게 설명한다. 개를 처음 키우는 사람은 이 개가 저 개 같고, 저 개가 이 개 같다. 계속 키우다보면 자기 개를 구분할 수 있게 되는데, 개 얼굴 정보를 처리하는 영역이 사람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