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바이오로깅을 이용해 어류와 바닷새, 바다 포유류를 연구한다. 그는 바이오로깅을 “미래에서 온 쌍안경”이라고 불렀다. “인간의 눈이 지닌 잠재 능력을 훌쩍 뛰어넘는 관찰을 가능케” 한다는 것이다. “연구의 본질적인 방식을 바꾸지 않고도 관찰, 기술, 고찰이라는 착실한 과정을 거쳐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1재단’이 이번 캠프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기획했다. 참가 학생들은 51재단이 진행하는 ‘미래청년콘퍼런스’에서 현지 학생들과 함께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들이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는 전략을 배우고 실습하게 된다. 애플과 구글, 페이스북에 재직 중인 51재단 회원들이 참가자들에게 직접 진로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노력과, 살아 있는 효모에 대한 식품생명공학자들의 애정 어린 연구가 만나 가까운 미래에는 모두가 맛보고 싶어 하는,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한국 빵’이 탄생할 날이 올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 ...
- 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꼬물꼬물 움직이는 애벌레 로봇애벌레는 보통 몸을 ‘Ω’ 모양으로 크게 웅크렸다가 ‘一’자로 쭉 피며 앞으로 나아가요. 그런데 사실 애벌레마다 특징이 있답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 ... ...
- 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인류가 등장하고 나서 전쟁이 사라진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는 전쟁의 총성이 끊이지 않는다. 미래에도 없어지지 않을 확률이 높다. 어차피 ... 비밀병기, 수학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 ...
- 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6호
- ◀ 전쟁 중에 물품을 조달할 때는 적 군에게 눈에 띄지 않고 안전하게 전달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전쟁 중에는 모든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며 전투가 벌어지는 장소 ... 비밀병기, 수학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된다는 것이다. 예술에 점점 더 가까워지는 수학과 수학에 점점 더 가까워지는 음악의 미래가 기대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딴따라 수학과 똑똑이 음악의 듀엣 타임!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Part 2. 수학, 음악을 ... ...
- [Origin] 명상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미국의 알렌 뇌과학 연구소는 캘리포니아공대 크리스트퍼 코흐 교수를 수석연구원으로 영입하면서 인간의 뇌에 대해 알아보는 야심찬 프로젝트를 시 ... 및 인성본성회복’ 등 KAIST에서 인성교육 강좌를 열었고, 작년부터 전인교육학회 회장, 미래 교육 소사이어티 창립멤버로 활동 중이다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큰 비중을 두고, 주변 환경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까운 미래에는 스마트기기를 들고만 다녀도 충전이 저절로 될 것이다. 그는 또 “자연에서 일어나는 대전현상을 모방해 독창적인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발전기를 제작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돌연변이나, 대장암을 일으키는 APC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여기에 해당한다. 머지않은 미래에는 생식세포 단계에서 이런 돌연변이를 정상으로 치환한 후 착상시키는 유전자 치료가 가능해질 수도 있다(현재도 CRISPRCAS9등의 기술을 이용하면 가능하지만 윤리적인 공감대 형성이 우선이다).한편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