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갗
살가죽
스킨
가죽
살
살껍질
skin
d라이브러리
"
피부
"(으)로 총 2,45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화학반응을 결정하는 요인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외부로 발산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몸속 열을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부위인
피부
로 이동시켜 공기 중으로 발산하는 방식과 땀샘에서 분비하는 땀을 수증기로 확산시키는 방법이다.전문가 클리닉1) 일상생활에서 빠르게 일어나는 현상과 느리게 일어나는 현상의 예를 한 가지씩 들어라. ... ...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간신히 스너피를 붙잡아 소동을 잠재운 뒤 이 교수가 다가왔다. 엄지와 검지의
피부
가 꽤 벗겨졌지만 다행히 피가 날 정도는 아니다. 덕분에 부상을 모면해서인지 새끼는 기자가 머리를 쓰다듬어도 얌전히 앉아있다. 햇빛을 받아 반짝반짝 빛나는 베이지색 털이 무척 부드러웠다.복제 쇠고기 ... ...
컴퓨터로 되살아난 클레오파트라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모른다. 해부학적 지점에 따라 다르지만 현재로서는 평균적으로 서양인에 비해 한국인의
피부
가 두껍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다.얼굴복원 연구는 단순히 하나의 얼굴을 재현하는 일을 넘어 해부학, 치의학, 법의인류학, 고고학, 인지심리학 그리고 CCTV 얼굴화면 분석 및 생체인식 기술까지, 활용할 수 ... ...
[생물]항생제의 공격에 저항하는 세균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수 있는 항생제가 극히 제한되며 감염되면 사망률이 높다. 황색 포도상구균은 사람의
피부
나 점막에 군집을 형성하며 사람들 대부분이 보균하고 있어 흔하게 감염을 일으킨다. 1941년 페니실린이 개발돼 황색 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길이 열렸다. 그러나 페니실린의 과도한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해답을 찾는다오. 이 DNA를 보려면 머리카락 한 가닥만 있으면 된다고 하오. 입속에서
피부
를 조금만 떼어내도 되고 말이오.논리는 이렇소. 생물이 진화하는 동안 발생한 돌연변이는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쌓여서 두 종이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뒤 오랜 세월이 지날수록 두 종의 염기서열 차이가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iPS)로 만든 뒤, 이를 다시 운동신경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iPS는 환자
피부
세포로 만들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이 없다. 또 난자를 사용하는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문제를 피해갈 수 있어 그동안 과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사이언스는 “자신의 세포로 파킨슨병이나 알츠하이머병 같은 ... ...
[물리] 운동은 상대적이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지구는 공간으로 복사열을 방출하고 같은 비율로 태양으로부터 복사열을 받는다. 옷이나
피부
도 태양의 복사열을 흡수한다. 사막에 사는 베두인족은 검은 겉옷을 입는다. 연구에 의하면 검은 겉옷은 흰 겉옷보다 훨씬 더 많은 햇빛을 흡수해 흰 겉옷을 입었을 때보다 옷 내부의 온도가 약 6℃ 더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멜라닌은 두족류뿐 아니라 동물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색소로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피부
색도 멜라닌 때문이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이 변형된 분자에 여러 가지 분자와 단백질이 달라붙은 복잡한 고분자로 아직까지 정확한 구조는 알려져 있지 않다. 멜라닌은 짙은 갈색인데 고농도로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최 교수는 “이는
피부
장벽기능이 현저히 떨어져 있고
피부
감염에 취약한 아토피
피부
염 환자에게 왜 자외선B의 조사가 증상을 호전시키는 지를 설명하는 증거”라고 말했다.그렇다면 겨울철엔 어떻게 햇빛을 쬐면 좋을까? 아주 추운 날이 아니라면 볕이 드는 거실에서 셔츠와 바지를 걷고 햇빛을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약자로 단일염기다형성으로 불린다. 인간은 DNA가 99.9% 같고 나머지 0.1%가 달라 눈 색깔과
피부
색이 다르다. 사람들 간의 이런 차이를 SNP, 즉 단일염기다형성이라 부른다. 만약 유전자의 특정 위치에 대부분의 사람에게 나타나는 시토신(C)이라는 염기 대신(1) 티민(T)이 나타난다면(2) 그 위치에 SNP가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