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기"(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 있답니다.”기자단 친구들은 박사님께 가상현실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기도 했어요. 준희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면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신 할머니와 직접 대화를 나누는 것 같은 경험을 하실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말했어요. 진희는 “집에서 혼자 있을 때 가상현실에 접속하면 ... ...
- PART 2. 생생 캐릭터, 탄생 현장을 가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두 분야의 차이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미래에는 애니메이션 영화와 게임을 명백히 구분하기가 어려워질 거예요.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 등이 각광받는 것도 이 사실을 뒷받침하지요. 혼자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1인 콘텐츠 개발자도 점점 늘어날 것 같고요.지금까지 생생한 캐릭터 배우의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개성이 뚜렷한 학생이 잘합니다. 통계포스터를 꾸미거나 신문 기사 작성, 토론하기는 그 분야에 재능이 있는 학생이 실력을 발휘하지요.Q 평가는 어떻게 합니까?자유학기제에 시행되기 때문에 시험을 따로 보지는 않습니다. 팀 프로젝트에 대해 자기 평가(10%)와 팀원 평가(20%), 팀별 평가(20%), 교사 ... ...
- [과학뉴스]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띠게 했다. RNA가 파괴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동시에 수지상세포에 잘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다.연구팀은 이 나노입자를 암에 걸린 쥐와 흑색종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투여했다. 그 결과 적은 양으로도 목표 항원에 대한 강력한 면역반응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대부분의 단백질 기반 ... ...
- [과학뉴스]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구분하는 것은 고도의 능력이다. 눈, 코, 입 등 생김새의 미묘한 차이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런 능력이 복잡하고 큰 뇌를 가진 영장류에게만 있으며, 진화 과정에서 획득한 능력이라고 생각했다.옥스퍼드대 동물학과 카이트 뉴포트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은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초신성 피드백 효과가 이들 은하와 비교하면 너무 미미하기 때문이다.현재 천문학자들은 무거운 은하가 이론보다 적은 이유를 AGN 피드백으로 추정한다. 일정 크기 이상 커진 은하에서 AGN이 켜지면 AGN 피드백에 의해 은하 성장에 ‘브레이크’가 걸리고, 따라서 이론적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없는 시기에는 이 손가락의 온도가 다른 손가락에 비해 평균 2.3℃ 낮았다. 반면 사냥을 하기 위해 가운데 손가락을 이용할 때는 온도가 평균 2.0℃ 높았다. 가장 뜨거울 때와 차가울 때의 온도 차이는 최대 6.0℃까지 나타났다. 사냥을 할 때에는 과감하게 혈액을 투자해 사냥의 성공률을 높이고, 사냥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교수의 투덜거림을 뒤로 하고 한진영 교수는 로봇의 데이터가 늘어난 메커니즘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때 윤정은 방학을 맞아 편안하게 늦잠을 자고 있었고, 소연은 뉴델리에서 서울로 가는 항공편을 결제하고 있었으며, 로봇은 늘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던 그곳에서 충전기를 꽂고 눈을 꼭 감고 ...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바둑, 왓슨의 퀴즈나 의료처럼 어느 한 분야만 잘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대신 인간이 하기 어려운 복잡한 계산이나 데이터 분석은 인공지능이 훨씬 잘 하는 분야예요. 실제로 인공지능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은 분야는 주식 투자, 의료 데이터 판독, 빅데이터 검색 등 빠르고 정확한 계산이 필요한 ... ...
- [가상인터뷰] 강아지 눈에 나침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다양하지요.헤엄을 잘 치기 때문에 옛날에는 물에 빠진 사냥감을 주워오는 역할을 하기도 했어요. 푸들이라는 이름도 ‘물장구를 치다’라는 뜻을 가진 독일어인 ‘푸데룽(pudeln)’에서 유래된 거예요.네가 길을 잘 찾는 비법이 있을 텐데?철새들이 먼 거리를 이동할 때 자기장을 감지하는 능력을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