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일상으로 들어온 메타버스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자동으로 내가 있는 장소 또는 사진을 찍은 장소를 알려주곤 합니다. 바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이용해 내 위치를 파악한 건데요. GPS 위성이 사방으로 보낸 신호는 스마트폰의 수신기에 들어갑니다. 이때 위성과 스마트폰의 거리를 측정해 스마트폰의 위치를 ... ...
[기획] 발자국 화석으로 살펴본 공룡의 모습은?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사실 타임머신을 타고 6600만 년 전으로 넘어오면서, 내가 연구했던 내용이 진짜인지
확인
해보려고 노트를 몇 권 챙겨왔었어. 그중에서도 발자국 화석에 관한 연구 ... 있어서 화석으로 예측한 내용이 모두 맞는지
확인
하진 못했지만, 한번 볼래? ▲ 고화질은 PDF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
[기획] 묻고 더블로 가? 공룡 대멸종, 소행성 이중 충돌로 일어났다?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있죠. 문제는 공룡의 종말에 영향을 줄 정도로 칙술루브 대충돌과 가깝게 일어났는지를
확인
해야 했습니다. 연구팀은 볼티시 분화구에 있던 암석을 가져와 ‘아르곤(Ar)-아르곤 연대측정법’으로 분화구의 돌이 생긴 시점을 계산했습니다. 아르곤은 화학 원소의 한 종류로, 암석 속 포타슘(K)의 한 ... ...
즐겁다! 에프매스의 무의식 스도쿠 세상!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컴퓨터가 스도쿠를 풀기 위해선 모든 경우의 수를 일일이
확인
하는 방법 외에는 없죠. 스도쿠 외에도 유명한 NP-완전 문제로는 지뢰찾기 게임, 외판원 순환 문제 등이 있습니다.만약 어떤 NP-완전 문제를 ‘빠른 시간안에 정답을 찾아낼 수 있는 문제’로 바꿔 풀 수 있는 ... ...
[chapter1] 왜 퓨처 모빌리티인가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등 센서를 이용해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도 개발됐다. 고정밀 지도(HD맵)와 위성위치
확인
시스템(GPS) 정보를 센서로 읽어들인 정보와 결합해 주변을 더 정확하게 인지하게 됐다. 이렇게 받아들인 정보는 2010년대에 급격히 발전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차가 도로 위에서 현재 벌어지는 일을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수콤달콤 포장공장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8호
똑같은 직육면체라도 전개도는 다양합니다. 다음 전개도 중에 직육면체를 만들 수 없는 전개도는 무엇일까요? ▲ 고화질은 PDF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핫이슈] 축구 경기에 응원 효과? 있다 vs 없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앨런 네빌 울버햄프턴대학교 연구원은 관중의 함성이 심판 판정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
해봤어요. 영국 프로축구리그인 프리미어리그 47게임을 분석한 결과 홈팀 선수는 상대 팀 선수보다 파울을 15% 적게 받았어요. 상대 팀 선수가 파울을 10개 받을 때 홈팀 선수는 파울을 8.5개 받은 거예요. 이처럼 ... ...
[가상 인터뷰] 우는 게 특기?! 눈물샘 오가노이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연구팀은 눈물샘 세포를 배양액에서 길러 오가노이드를 만든 뒤, 제대로 기능하는지
확인
하기 위해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을 포함한 화학 물질에 노출시켰지. 그러자 눈물샘 오가노이드는 자극에 반응해서 눈물과 유사한 액체를 만들며 부풀었어. 연구팀은 눈물관까지 ... ...
[기획] 어떻게 길을 찾았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기억해요. 지형지물이 없는 바다에서는 태양의 고도와 별자리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
하기도 하죠. 심지어 새들은 인간이 나침반을 이용하는 것처럼, 자기장을 느끼고 이용하기도 해요. 어떤 새들은 부리에 작은 자철석을 가지고 있어 자기장의 방향을 알 수 있지요. 철새가 길을 찾는 방법 ➊ ... ...
[쇼킹 사이언스] 머리를 잘라내도 살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몸을 자르는 행동이 천적의 공격을 피하려 몸을 잘라내는 도마뱀과 같은 반응인지
확인
하기 위해서였어요. 하지만 달팽이는 연구팀의 공격에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았답니다.연구팀이 달팽이가 자른 몸 부분을 살펴봤더니 몸 안에 물벼룩 같은 기생 갑각류가 발견됐어요. 목을 자른 달팽이 42마리의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