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힘"(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평 방향으로 자른 평면(이하 ‘평면’으로 표기)’을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힘으로 버틸 수 있는 대칭 모양으로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가장 높은 초고층건물인 두바이 부르즈 할리파의 평면도 꽃잎이 세 개 달린 방사형 대칭 모양이다. 삼각형을 이용한 트러스 구조를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언급한 ‘정답’은 아직 없다. 그러나 이야기 조각이 점점 늘어나면서 ‘타임루프설’이 힘을 얻고 있다. BU의 가장 중요한 열쇠, 시간여행아이들이 불행해지는 걸 막고 함께 행복했던 시간에 머물기 위해 석진이 계속 시간을 돌리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방탄 유니버스를 해독하기 위한 가장 ... ...
- [DJ CHO의 롤링수톤] 승리를 견인하는 떼창, 승리의 함성 20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흥겨운 노래를 수백, 수천 명의 사람이 일제히 따라 부르며 함성을 지르면 선수들은 힘을 얻습니다. 2002년 한일월드컵 때 수천 명이 한 목소리를 내는 한국의 응원문화에 이미 전 세계가 놀랐던 적이 있었지요. 들어 보셨을 겁니다.‘대~한민국! 짝짝짝짝짝!’ 한 공간에 수많은 사람이 몰려 있으니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효과를 이용한 게임을 개발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정해진 포맷에 따라 질량이나 힘 같은 입력값을 넣어 이미지가 변하는 상태를 실시간으로도 볼 수 있다. 마영전 개발팀은 하복 엔진에 들어 있는 ‘랙돌(ragdoll) 시스템’과 ‘로프(rope) 시스템’을 이용해 적이 죽어가면서 널브러지는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다. 이 교수는 “다공성 구조는 치아의 힘을 고루 받는데다가 침과 섞이는 표면적이 넓어 소화가 잘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다공성 구조에서 구멍의 모양과 크기를 다양하게 디자인한 도면을 3D 푸드 프린터로 인쇄해 식감도 분석하고 있다. 여기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구에 있는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어요. 원자를 확대해 보면 핵과 그 주위를 도는 전자로 구성돼 있고, 핵은 다시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뤄져있답니다. ... 당긴다는 의미를 갖고 있지요. 즉, 표면장력은 ‘액체의 표면에서 분자들이 서로 당기려는 힘’을 표현하고 있답니다 ... ...
-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평창동계올림픽을 빛낸 군집드론 ‘슈팅스타’야. 지금 뭐하는 거냐고? 나와 친구들이 힘을 합쳐서 아주 멋진 작품을 만들고 있지! 우리가 이렇게 여럿이 일을 하는 비결이 뭐냐 하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Part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뒤부터의 시간이다. 표준모형에 따르면 빅뱅으로 인해 우주에는 12개의 기본입자와, 힘을 매개하는 4개의 입자가 탄생했다. 이들이 결합하며 양성자와 중성자를 만들고, 또 이들이 결합해 원소가 탄생했다. 수소(H)와 헬륨(He) 등 우리에게 친숙한 원소가 탄생까지 4~5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홍 교수는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일주일만 더 버티자’ ‘지금까지 노력한 것들이 수포로 돌아가지 않도록 조금만 더 힘을 내자’는 생각으로 마음을 다잡은 끝에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자신을 믿고 밀고 나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 ...
- 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여러 생물이 모여 있는 것을 뜻하는 단어예요. 개미나 벌 같은 생물은 여럿이 작은 힘을 모아 큰일을 해내곤 하지요. 이런 군집의 특성을 로봇에 적용한 것이 군집로봇이랍니다. 영국 링컨대학교 로봇과학자들은 개미들의 의사소통 수단인 ‘페로몬’을 모방해 군집로봇을 만들기도 했어요. 실제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