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과
과상 돌기
복사뼈
국
속
학부
전공
뉴스
"
과
"(으)로 총 2,268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출 규모로 갈리는 기업 빅데이터 활용, 격차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활용지원 사업 수행계획 발표 및 질의응답이 진행됐으며 사업별 주요 목표 공유 및 성
과
창출방안 논의됐다. 문용식 NIA 원장은 “제품∙서비스 기획, 마케팅, 생산공정 등 기업의 비즈니스 이슈를 해결하는데 있어 빅데이터 활용은 필수”라며 “작년에 이어 중소기업 빅데이터 활용지원 사업의 ... ...
과
학기술계 총장 7人이 말하는 ‘한국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위한
과
학기술혁신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
과
총 회장 재직 시절 마지막 연차대회에서
과
학기술이 밝은 미래를 여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딱 한 잔인데 어때'는 안일한 생각…술 한 잔에도 운전중 인지능력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한 잔이 채 되지 않는 술을 마셔도 인지능력
과
순발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결
과
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5일부터 음주운전 단속기준이 혈중 알코올 농도 0.05%에 ... 맥주나 와인 기준 1~2잔 정도 되는 양이다. '술을 많이 마실수록 주량이 는다'는 말은
과
학적으로 근거가 없다 ... ...
국내연구진 2063년 지구 충돌 위험 소행성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돈다. 또 태양으로부터 비슷한 거리에서 태양을 돌고 있고, 궤도면도 지구의 공전궤도면
과
비슷해 향후 소행성에 직접 무인 탐사선을 보내는 임무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발견은 한국이 보유한 KMTNet가 있어서 가능했다. 하지만 주요 부품인 카메라 CCD의 설계 수명을 거의 다 ... ...
천식 발생
과
정 밝히는 ‘폐세포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이름
과
세포의 대분류를 지정하면 건강한 사람
과
천식환자의 폐에서 영역별 세포의 특성
과
유전자 발현도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 네이처 메디신 제공 ... ...
유전자 가위 품은 1세대 바이오벤처, 새 이름은 ‘툴제넥신’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말했다. 김종문 툴젠 대표는 “세계적인 유전자가위 기술 선도기업인 툴젠
과
제넥신의 합병은 양사간 최고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의 합병은 7월 30일로 예정된 툴젠 주주총회를 거친 뒤 이뤄진다. 합병기일은 8월 31일, 신주 상장예정일은 9월 30일이다. ... ...
"IBS에 퇴직 공무원들 요직 차지"보도에
과
기부 다른 산하기관들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최근 수년간 관행처럼 굳어져왔다는 사실을 많은 이들이 느끼고 있다”며 “IBS 감사결
과
과
기부 퇴직 공무원들이 요직을 차지하고 있어서 문제라는 지적은 앞뒤가 맞지 않다”고 말했다. ... ...
신약 후보물질 발굴, AI로 더 빠르게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의의를 말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AI 모델은 김동욱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팀
과
공동으로 개발중인 신약개발 플랫폼에 공식 탑재할 예정이며 올해 말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 ...
"저랑 놀아줘요" 개의 친근한 눈빛은 사람
과
소통을 위한 진화 결
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개가 인간
과
친근하게 소통하면서 둥글고 똘망똘망한 눈을 갖도록 눈 근육이 진화했다는 연구결
과
가 나왔다. 최은진 제공 개와 늑대는 학명(Canis lupus)이 같지만 눈빛만 보면 개와 늑 ... 가진 반면, 늑대는 눈을 가늘게 뜨고 날카롭게 바라보는 눈빛을 가진 이유다. 미국국립
과
학원회보 ... ...
[강석기의
과
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아몬드다. 스위트 아몬드는 초기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발현량(FPKM values)이 미미해 결
과
적으로 씨 떡잎(cotyledon)에 아미그달린이 거의 없어 먹었을 때 쓰지 않고 고소하다. 최근 아몬드 게놈을 분석해 이 효소의 발현량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의 돌연변이가 원인임을 밝혔다. 사이언스 제공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