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뉴스
"
입자
"(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인류를 위협으로부터 구원할 방패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심근경색이 있을 때만 혈액에서 확인되는 단백질을 바이오마커로 삼아 백금나노
입자
를 이용해 10분 만에 이 단백질을 검출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전상민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일회용 마스크 사용이 늘어나면서 환경 문제가 대두되자 최근에는 이를 ... ...
시베리아 바이칼 호수 1.3km 밑엔 세계 최대 수중 ‘유령
입자
’ 검출기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들어갔다”며 “KNO는 대구나 울산 지역 지하 1km 깊이에 중성미자 검출기를 설치해
입자
물리 연구뿐만 아니라 우주에서 날아오는 중성미자를 검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수도권 뒤덮은 미세먼지…중국발까지 겹쳐 15일까지 이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3
분석이다. 초미세먼지는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이하인
입자
다. 초미세먼지 농도는 세제곱미터당 35㎍을 넘어서면 나쁨, 75㎍을 초과하면 매우 나쁨이다. 11일에는 서울의 시간당 초미세먼지가 100~140㎍을 기록하며 매우 나쁨 수준을 기록했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 수준을 ... ...
공기 희박해도 OK, 빛으로 비행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21.03.10
이용해 중간권을 비행할 수 있는 소형 비행체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에어로졸
입자
가 빛을 흡수할 때 온도차에 의해 빛의 정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영동(photophoresis)’ 현상을 이용했다. 플라스틱 재질로 된 지름 6mm의 디스크에 0.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두께로 ... ...
[동일본대지진 10년]“오염수 탱크 10개 방사성 핵종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다행히 삼중수소는 살아있는 세포에 거의 손상을 입히지 않는 저에너지 베타(β)
입자
를 내는 베타핵종이어서 다른 방사성 핵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말했다. 뷰슬러 소장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탱크에 포함된 삼중수소는 약 1PBq(페타베크렐·1PBq은 1000조Bq)이다. ... ...
미생물에 광나노
입자
붙여 이산화탄소 화학물질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고효율 광 나노
입자
를 사용해 인공광합성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광 나노
입자
로부터 생성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인공미생물 개발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진상락 KAIST 생명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생이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달 23일 국제학술지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자연에서 발견한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2021.03.09
할 수 있다. 체내의 세균을 표적으로 삼는 항생제와 달리, 바이러스 치료제는 바이러스
입자
자체를 파괴하도록 설계되진 않는다. 바이러스의 외피는 숙주세포의 세포막과 구성이 거의 동일해서, 바이러스를 파괴하려다 숙주세포에도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즉,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우는’ ... ...
머리카락 굵기 혈관도 훤히 보인다...해상도 10배 'MRI 조영제'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Fe₂O₃)로 둘러싸 크기가 5나노미터인 MRI 조영제 사이오를 개발했다. 조영제의
입자
의 크기가 가돌리늄처럼 너무 작으면 신장에서 여과되는 시간이 빠르고 반대로 너무 크면 체외로 쉽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연구팀은 사이오에서 자성체 성질을 갖는 산화철을 그대로 둔 채 나노 ... ...
빛 쪼여 약물 주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이용해 이런 제약을 해결하기로 했다. 잘 휘어지는 유기 태양광발전 소자에 나노
입자
를 코팅한 뒤 여기에 근적외선을 쪼여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 전류가 약물저장소를 막고 있는 금 박막을 녹여 약물이 방출되게 했다. 근적외선을 사용한 건 피부를 투과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이다. 한 교수는 ... ...
워싱턴 의대 연구진 "기존 백신으론 변이 코로나 막기 어렵다"
연합뉴스
l
2021.03.06
부분적인 효과만 나타났다. 스파이크 단백질이 ACE2 수용체와 결합한 뒤 바이러스
입자
의 외막과 숙주세포 막이 융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그래픽. 저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 내용 등을 토대로 재구성한 컴퓨터 그래픽이다. [미 보스턴 아동병원 Jonathan Khao 박사 등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