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치
조화
원
하모니
형혹성
화성군
수원성
뉴스
"
화성
"(으)로 총 1,331건 검색되었습니다.
흰개미 닮은 로봇들 '살아있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6
이용했다면, 흰개미 로봇은 분산적으로 인공지능을 갖게 됐다”라며 “
화성
이나 홍수 지역 등 척박한 지역에서 이들 흰개미 로봇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처 제공 이번주 ‘네이처’ 표지는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상태(BEC)’라는 특수한 상태의 극저온 원자구름의 초유체 ... ...
AI, 영남까지 덮치나
동아일보
l
2014.01.29
또 이날 경기
화성
시에서 종계농장의 AI 의심 신고가 들어왔다. 이 농장에서 15km 떨어진
화성
시 시화호의 철새 배설물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인된 지 3일 만이다. 방역 당국은 수도권에 AI가 확산될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서울대공원은 AI가 수도권에 확산될 것을 대비해 30일부터 다음 달 9일까지 ... ...
화성
알고보니 생물의 천국?
동아사이언스
l
2014.01.26
가장자리에 철과 알루미늄이 풍부한 점토 광물이 존재한다는 징후를 발견하고 2004년
화성
에 착륙한 탐사로봇 ‘오퍼튜니티’를 보내 광물질의 근원과 생명의 흔적을 찾게 했다. 예상대로 이 지역에는 점토 광물이 풍부한 바위가 층층이 쌓여있었고 물이 흘렀던 흔적도 찾을 수 있었다. ... ...
“투모로우가 현실이 됐다”
동아일보
l
2014.01.09
예보됐다. 특히 바람으로 열을 빼앗길 때 느끼는 풍속냉각 온도는 남극은 물론이고
화성
의 일부 지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몬태나 주 커머타운의 풍속냉각 온도는 영하 53도로 남극의 풍속냉각 온도인 영하 34도보다 낮았다. 미국 최대 도시인 뉴욕의 기온도 118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 ...
2014년에는 어떤 우주쇼가 찾아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31
화성
표면에는 큐리오시티와 오퍼튜니티라는 로봇 관측차(rover)가 활동하고 있으므로,
화성
표면에서 관측되는 유성우쇼를 생생하게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동아 천문대 관측 프로그램 예약하러 ... ...
태양계 벗어나 외계인과 조우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지구와 교신을 이어갈 예정이다. 보통 우주탐사선은 태양전지판에서 전력을 얻지만,
화성
궤도 바깥에선 태양에너지가 약해 태양전지판이 쓸모없어진다. 보이저 1호가 지금까지 활동할 수 있던 까닭은 플로토늄을 연료로 하는 열전기 발전기(RTG)가 예상 수명을 훌쩍 넘기고도 정상작동하고 있기 ... ...
로봇과 대화하는 자폐아, 사회성 '쑥쑥'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이번 공개수업에도 대구대 관계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로보짱을 원격 제어했다.
화성
초등학교 교사들은 “로봇이 수업 효과를 높이고 학생들의 집중도를 지속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타인과의 소통을 어려워하던 학생들이 로봇에 흥미를 보이면서 사회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보이고 ... ...
中, 美-러 이어 세번째 달 안착… ‘옥토끼’ 표면사진 보내와
동아일보
l
2013.12.16
진행하고 있으며 2018년 전후로 다시
화성
탐사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중국은 2011년
화성
탐사선인 ‘잉훠(螢火·반딧불이라는 뜻) 1호’를 발사했으나 실패했다. 베이징=이헌진 특파원 mungchii@donga.com 로이터/동아닷컴 특약 [화제의 뉴스] - 김한솔 잠적?…친구 “학교서 못봐” - ‘張의 사람들’ ... ...
화성
에서 드디어 '생명체' 발견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12.10
떨어진 옐로우나이프만을 지나고 있는 큐리오시티는 2014년에는 5km 높이로 층층이 쌓인
화성
의 암석층을 탐사할 예정이다. 미국 스토니브룩대 지구과학과 스콧 매클레넌 교수는 “각종 원소가 들어있는 입자는 강을 따라 옐로나이프만으로 흘러와 호수를 이뤘을 것”이라며 “이 호수의 물은 ... ...
달 탄생 기원 ‘금성’에 물어봐
동아사이언스
l
2013.12.08
이해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노력을 소개했다. 최근까지 과학자들은 원시지구에
화성
크기의 행성체가 충돌해 달이 탄생했다는 ‘거대충돌설’을 지지해왔다. 지난해에는 이를 보완한 두 개의 가설들이 새롭게 등장했다. 첫째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던 원시지구에 행성체가 충돌하면서 지구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