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스페셜
"
정확
"(으)로 총 1,57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특정한 빛의 진동수를 기준으로 했다. 이 빛은 기존의 1초라는 시간 동안 약 92억 번(
정확
하게는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한다. 그러니까 이 특정한 빛이 약 92억 번 진동하는 데에 걸린 시간을 1초로 삼을 수 있다. 특정 원자의 에너지 준위 차이에서 나오는 빛의 에너지와 진동수는 양자역학의 규칙에 ... ...
"초연결軍 시대 온다는데 보안문제 앞에 한없이 작아지는 한국군"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중심전’이라는 용어를 들었다. 모든 전력을 연결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황인식을 해
정확
한 목표 설정으로 전쟁에서 승리하는 개념의 전투다. 지휘자의 신속한 의사 결정을 도와주는 목적이 있다. 박 실장은 “지휘관이 정해진 형태가 아니라 상황에 맞게 즉각 원하는 전투 형태를 구성하게 ... ...
[주말 고고학산책]냉동인간 ‘외치’는 왜 알프스 계곡에서 숨을 거뒀나
2019.06.22
주장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증거가 더 모이지 않는 한 앞으로도 외치가 죽은 이유를
정확
하게 알기는 힘들 겁니다. 고고학자들이 추측하는 외치의 마지막 순간은 이렇습니다. 알프스 남쪽에서 살던 사냥꾼 외치는 병에 걸려 몇 달간 심하게 앓은 후 알프스를 올랐습니다. 하지만 싸움에 휘말려 ... ...
美서 첫 사망자 공식 확인한 ‘대변이식술’은 어떤 치료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시행하고 있다. 비급여 의료시술로 진행되고 있어 아직 건강보험이 되지 않는다.
정확
한 국내 전체 통계자료는 아직 없고, 서울성모병원의 경우 대변이식술을 시행한 건수가 지난해 기준 30건, 2013년 이후 총 70여 건이다. 대변 이식 가능한 '건강한 똥' 찾기 쉽지 않아 건강한 장은 선홍색이지만 ... ...
SNS 게시글은 말한다. 당신이 당뇨에 걸릴 가능성 높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비교했다. 그 결과 당뇨병과 우울증, 불안장애를 비롯한 모두 18개 질환을 비교적
정확
하게 예측하는데 성공했다. 예를 들어 '술(drink)'이나 '병(bottle)'이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한 사람은 실제 알코올 남용 가능성이 25% 높았다. '고통(pain)'이나 '울음(crying)', '눈물(tears)' 등의 단어를 자주 쓴 사람은 ... ...
산모 혈액만으로 다운증후군 더
정확
히 판별하는 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연구원은 “이번 표준물질 개발에 활용한 DNA 정량분석 방법은 복잡한 매질에서 DNA 양을
정확
히 측정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라며 “질병의 진단부터 혈액이나 식음료 등 정제되지 않은 다양한 시료의 품질 평가까지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운증후군 표준물질 제조과정을 ... ...
[이정아의 닥터스]“北도 당뇨병은 사회문제, 남북 윈윈모델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지역에서 20~79세 대상 무작위로 샘플을 뽑아 당뇨병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인데, 비교적
정확
한 편이라고 북한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북한의 당뇨병 발생 패턴은 1980년대의 한국 상황과 비슷하다. 과거 ‘부유한 사람만 걸리는 병’이라는 별명처럼 북한에서도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사람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관한 것이다.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1초를 정의하려면 알아야 한다)을 모르면 1미터를
정확
하게 정의할 수 없다. 미터법은 문명이다. 기초과학을 모르면 문명의 재건이 필요할 때 우리는 할 수 있는 일이 없게 된다. 미터법 하면 떠오르는 나라가 영국과 미국이다. 이 두 나라는 일상에서 아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결과일지 모른다. 아마도 남성호르몬 수용체의 밀도가 더 높지 않을까. 그럼에도 아직
정확
한 이유는 모른다. 그런데 손가락 비율 이야기는 여기가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다. 손가락 비율은 검지와 약지의 길이를 재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정량화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특성을 대신하는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개발한 것은 크기가 작아 침대에 부착할 수 있다. 그래서 환자의 뇌 심부 신경핵에
정확
하게 전극을 삽입하도록 세밀하게 안내할 뿐 아니라, 움직임이 작아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를 방해하지 않는다. 인공지능(AI) 기술과 융합한 스마트 의료로봇도 기대된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로봇이 스스로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