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가구
가족
성대
세기
시대
일대
d라이브러리
"
세대
"(으)로 총 2,437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도 인생도 흐르는 강물처럼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수문학자로서 연구도, 인생도 흐르는 강물처럼 순리에 몸을 맡겨왔던 선우 교수가 젊은
세대
를 위해 목숨을 바친 ‘깔레의 시민’을 보며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는 것은 왜일까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컴퍼스만으로 지구를 돌 수 있다는 확신은 그만의 것이 아니었다. 그가 태어나기 한
세대
전 르네상스의 가장 위대한 발명인 원근법이 탄생했고,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로 42행 성서를 펴냈을 때 그는 겨우 두 살이었다. 그가 마흔 살이던 해 콜럼버스는 신대륙을 발견했고, 레오나르도가 숨을 거둔 1 ... ...
2. 모양은 같아도 기술은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이렇게 바이모달 저상굴절차량은 버스와 지하철의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다. 또한 차
세대
무공해 동력원인 연료전지를 사용해 환경까지 고려했다. 2009년경 시험 제작된 차량이 나올 예정이다. 5. 택시 닮은 소형궤도열차버스를 닮은 열차만 개발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택시처럼 원하는 시간에 ... ...
움직이는 3차원 홀로그램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소리내 웃고, 손을 흔드는 아내와 아들이 실제로 눈앞에 서있는 것처럼 생생하다. 차
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는 홀로그램의 한 예다.홀로그래피는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해 3차원 영상을 재현하는 기술이다. 사물을 본다는 것은 곧 사물에서 반사된 빛을 본다는 의미다. 이 빛만 재생하면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HDTV의 차
세대
주자로 꼽힌다 특수 안경을 쓰지 않고 맨눈으로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360˚ 모든 방향에서 영상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도 있다 회전 스크린 방식이 대표적이다지질단백질 중 ... ...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하나로 인공지능 분야의 선구적인 전망도 이 시리즈에서 태동됐다. ‘스타트렉:그 다음
세대
’의 등장인물 중에는 안드로이드인 데이터 소령이 있다. ‘걸어 다니는 백과사전’인 그는 등장할 때마다 항상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에 몰두하면서 인간에 가까워지려고 노력한다. 데이터 ... ...
2007년 부활하는 화성생명체 탐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발사하기로 했다. 차
세대
탐사선 피닉스NASA가 본격적인 생명체 탐사용으로 준비한 차
세대
탐사선은 내년 8월에 출발한다. ‘피닉스’(Phoenix)라는 이름의 이 탐사선은 1999년에 추락한 마스폴라랜더의 부품과 마스서베이어 2001 착륙선을 이용해 저가로 만들었다.북위 65~75° 부근의 극지에 착륙할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고유한 코드가 부여돼 통화를 가능케 한다WCDMA를 기반으로 처리 속도를 좀 더 향상시킨 35
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다염색체상의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DNA 단위 유전자 사이를 건너다닐 수 있기 때문에 '점핑 유전자'(jumping gene)라고 불리기도 한다단백질의 원료인 아미노산을 ... ...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러시아의 주력 장거리미사일은 사거리가 1만km인 대륙간탄도탄 ‘SS-24(RS-22)’다. 이전
세대
의 대륙간탄도탄 ‘SS-19(RS-18)’은 액체로켓이며 사거리는 SS-24와 유사하다. SS-19는 1990년대 중반부터 우주발사체 ‘로콧’의 로켓으로 쓰이고 있다. ‘SS-18(RS-20)’은 초대형 탄도미사일로 1980년대 미국의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않는 ‘자가불화합성’이나 꽃가루가 생기지 않는 ‘웅성불임’을 이용해 ‘교잡종 1
세대
’(F1)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이다.그 결과 1960년에는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김장김치용 배추인 ‘원예1호’와 ‘원예2호’가 탄생했다. 그 뒤 계절에 관계없이 재배 가능하고 균일한 맛을 지닌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