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지휘
통솔
맵
길잡이
약도
기로
d라이브러리
"
지도
"(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예측하고 투자해 돈을 벌고 있지요. 제 자랑을 좀 해 볼까요? 전 1974년에 미분기하학의
지도
자로 불리는 수학자 천싱셴과 함께 독특한 기하학적 측정법인 ‘천-사이먼스 이론’을 발표했습니다. 이 이론은 수학 7대 난제 중 하나인 ‘푸앵카레의 추측’을 푸는 열쇠를 제공했지요. 저는 전직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우리의 물리법칙과 닮았다면 암흑전자기력을 전달하는 입자도 암흑광자 하나뿐일
지도
모른다. 암흑광자를 발견해 연구를 하면 존재조차 알 수 없던 암흑의 힘 중 하나가 그 실체를 드러낼 수도 있다.제퍼슨연구소는 3주에 걸친 실험에서 암흑광자를 찾아내지 못하면 텅스텐에 쏘는 전자빔의 출력을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그리스 시대의 아르키메데스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원주율을 계산할 수 있었다. 조충
지도
유휘의 방법을 발전시켜 원주율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휘의 책은 1000년 동안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수학을 대표하는 서적이었다.세키 코와(1642~1708년)세키 코와는 일본 수학사에서 단연 제 1의 ... ...
뇌신경
지도
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선택적으로 자극하고 이 때 반응하는 다른 신경세포들을 추적할 수 있다.완전한 커넥톰
지도
를 그리는 것은 앞으로도 불가능할지 모른다. 그러나 인간의 뇌와 뇌에 생기는 질병들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뇌의 이상을 특정한 뇌 영역이 아니라 뇌 신경회로망의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그는 84년도에 석사를 마치고 갔던 미국 캘리포니아대 유학시절을 이야기했다. 그 때
지도
교수가 “연구를 할 때는 여러 분야를 넓게 파는 것보다 한 분야를 좁고 깊게 파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노 교수는 이 말에 동의했다.“85년 박사과정 때 했던 연구를 지금도 계속 하고 있는 셈입니다.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재현된 또 다른 ‘나’ 역시 같은 영화관에 앉아서 같은 우주의 역사를 관람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컴퓨터 속 우주에서 사는 ‘나’는 과연 무엇일까.완벽한 우주 창조의 꿈물론 오늘날의 컴퓨터로 우주를 완벽히 재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로 계산한 우주는 컴퓨터 안에서만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만든 뒤 하늘을 훑어 1939년 전파
지도
를 만들었다. 전파의 세기를 등고선으로 나타낸 그의
지도
를 보면 우리은하의 중심과 백조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강력한 전파가 나옴을 알 수 있다. 훗날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전파원은 초신성의 잔해로 밝혀졌지만 백조자리의 전파원(백조자리 A)은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지도
를 만드는 연구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서 2010년 새로 시작된 인간의 머릿속 신경
지도
를 그리는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막대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의 중요성과 세계 각지 과학자들의 협업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보다 많은 사람들이 슈퍼컴퓨터를 ... ...
세상을 밝히는 등불처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쳐 2007년 9월 성균관대에 둥지를 틀어 많은 석·박사 학생들을
지도
하고 있다. 졸업하던 그해 겨울 열정적인 연구의 기억은 여전히 삶의 지침과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제자들을 훨씬 나은 인재로 키워내기 위해, 나의 성과가 비추는 빛의 크기를 키우기 위해 노력을 다하고 있다. ... ...
마법 요리의 세계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그리고 그에 맞는 활동을 하도록
지도
했다. 학생들은 자신감을 얻었고 자신감은 학생들의 꿈에도 영향을 줬다. 환경공학을 공부하고 싶은 예건희 학생은 원래 과학을 좋아하지 않았다. 교과서 속외우는 과학에 지쳐 있을 때 동아리 활동으로 흥미를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