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학생들이 융합 과학자로 발돋움할 수 있게 도울 것”이라고 전했다.DGIST가 학부생을 모
집
한 것은 불과 3년 전이다. 이번에 기자가 만난 3학년 학생들은 모두 DGIST의 첫 번째 학부생으로, UGRP는 이 학생들이 과학자로 첫 발을 내딛는 과정이다.처음은 언제나 설레는 법이다. 그 설렘은 아마 많은 ... ...
[소프트웨어] 마인크래프트로 배우는 코딩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농사를 짓거나 채광을 해 자원을 모아 블록으로 건물을 짓고 주변에 있는 몬스터로부터
집
을 보호하는 게임을 개발했다. 바로 마인크래프트다. 마인크래프트는 자기만의 개성 있는 세상을 만들 수 있어 출시 후 꾸준히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런데 마인크래프트와 코딩은 어떤 점이 닮았을까 ... ...
[Interview] “ 젊은 여성들이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싶어요”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교수들과 함께 수학과 연구팀도 꾸릴 계획이다. 현재 함께 연구할 석사 및 박사들을 모
집
중이다. 이미 연구팀 이름도 정했다. ‘최적화 및 시뮬레이션 모델링’ 연구팀이다.“이제 여유를 갖고 제가 관심 있는 연구에 대해 생각하고 싶어요. 대학원에서는 모든 걸 시간에 맞춰 해야만 했기 때문에 ... ...
[Tech & Fun] 박흥보 특급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한 명을 부유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정도의 문제가 아니었다. 생체 세포 속에 물질을
집
어 넣는 나노 기술, 순간 이동 기술에 관한 문제였다. 불치병을 치료하거나 항성 간 우주 여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일이었다.“그럴 리야 있겠어. 바다 깊이 숨어 있는 해저 문명이 왜 그런 이상한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직접 대화를 나누는 것 같은 경험을 하실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말했어요. 진희는 “
집
에서 혼자 있을 때 가상현실에 접속하면 다른 사람과 대화하고 게임도 할 수 있어서 외롭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지요.가상현실은 우리 삶을 어떻게 바꿔 놓을까요? 가상현실과 함께할 미래를 기대해 봐요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세로 19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격자 모양에서 흑과 백, 단 두 색의 돌로 대결하며 자신의
집
을 넓혀가는 경기예요. 이때 빈 바둑판에 흑이 첫번째로 놓일 수 있는 자리는 19×19=361개예요. 다음 차례인 백의 자리는 하나가 줄어든 360개가 되겠죠? 이 둘의 조합이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는 361×360=12만 996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보호하고, 사람 주변에서도 살 수 있게 만들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요. 여러분의
집
주변에서 아름다운 개구리의 합창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함께 응원해 주세요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치료약을 개발하는 것이다.연구팀은 치료약 개발이 쉽지 않다면 많이 모여 있는 곳을
집
중 공격해 좀비 수를 줄여 나가는 것이 인류가 살아남을 방법이라고 소개했다. 더불어 좀비를 피해 여러 명이 함께 숨어 있으면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그 이유는 좀비에게 발각되는 순간 좀비 수가 폭발적으로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어떤 모습이었는지는 여전히 추측만 할 뿐이다.두 조상을 토대로 이들이 어떻게 한
집
에서 살게 됐는지도 추론해보자(Science 351, 659 (2016)). 진핵세포의 조상은 욕심쟁이였을 것이다. 세포막을 조심스레 여닫으며 주변에 풍부한 영양소를 흡수하는 대신, 세포막을 활짝 열어 아예 크게 한 움큼 베어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이것이 갯과 육식동물에 의한 것인지
집
쥐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집
쥐는 갯과 육식동물보다 입이 훨씬 작기 때문에 뼈의 끝부분을 통째로 씹거나 분리시키지 못한다. 대신 벌레가 과일을 파먹은 것처럼 뼈의 강한 부분은 남기고 약한 부분만 조금씩 갉아 먹는다(사진 ➍).독수리,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