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뉴스
"
식물
"(으)로 총 2,163건 검색되었습니다.
온라인 불법복제물 시정권고 5년새 3배 이상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8.29
판매 중지 건수도 2013년 4422건에서 지난해 6156건으로 증가했다. 검찰청에 접수된
식물
신품종 위반 사건의 접수는 2013년 2건에서 2017년 42건 늘고 산림청의 유통단속 건수가 2013년 14건에서 2017년 31건으로 각각 증가했다. 불량 종자 단속 건수는 2017년 31건으로 전년보다 14.8%가 증가했고, 위반행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위에 선정된 지중해식단은 워낙 많이 알려져 있어서 간단히 말하면 대시식단에서 생선과
식물
기름(올리브유)의 비율을 높이고 와인 한 잔이 곁들여진 정도다. 아무튼 딱 봐도 둘 다 건강에 좋은 식단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위의 두 식단을 지속할 경우 혈압 같은 대사 지표만 좋아지는 게 아니라 ... ...
유전체교정 시금치로 만든 파스타, 식탁에 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2012년부터 현재까지 갈변 없는 버섯, 가뭄과 염분에 강한 대두 등 총 6종의 유전체교정
식물
이 미 농무부로부터 GMO 규제 대상 제외 판정을 받았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은 포괄적인 규제보다는 개별 제품을 대상으로 위해성 심사와 판매 허가 절차를 진행한 뒤 제한적으로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화산폭발하면 식량 생산성 줄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6
지난 7만4000년전 폭발한 인도네시아의 토바화산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폭발로 기록됐다. 지구의 온도가 약 4도 이상 떨어졌고 거의 1년 내내 혹독한 겨 ... 시간이 걸리는데다 이후 화산재가 장기간 태양빛을 감소시키는 것까지 더해져, 결국
식물
생장을 막는 효과를 만든다고 분석했다. ... ...
日 “유전체 교정 작물은 GMO 규제 대상서 제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1
일반인들이 왜래 유전물질이 들어간 GMO에 거부감을 느낀다는 점에서 유전체 교정
식물
이 GMO보다 시장 경쟁력이 높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마사시 다치카와 일본 나고야대 교수는 재팬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규제 대상에서 유전체 교정 생물체가 제외되더라도 각국의 정부 당국은 이런 ... ...
작년 GMO 수입량 줄었지만…연구용 전년 대비 24%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18.08.21
식물
세포에 대한 위해성 심사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6개 미생물과 1개
식물
세포가 위해성심사를 받았고 이 중 식품첨가물 생산용으로 1개 미생물이 승인됐다. GMO 기술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가 전국 성인 남녀 800명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핫 하우스' 지구, 더 이상 픽션이 아니다
2018.08.21
크게 올랐다. 사실 농작물은 인류가 지난 홀로세 1만여 년 동안 세심한 손길로 선별한
식물
들이라 환경변화에 취약하기 마련이다. 지구 온도가 불과 1도 올라간 상태에서도 이 정도인데 5도가 더 높아지면 어떻게 될지는 어렵지 않게 짐작할 것이다. 결국 농작물 수확량이 급감하면 많은 인구가 ... ...
생체리듬 바꾸려면?...신경세포 2000개만 조절하면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4
사람들은 새로운 생활패턴에따라 몸이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GIB 제공 동물이든
식물
이든 낮과 밤을 인지해 생활하는 생체리듬을 갖고 있다. 포유류나 파충류의 경우 이같은 일주기 리듬은 시교차상핵(이하 SCN)이 빛과 반응해 결정된다. SCN은 시신경이 교차해 뇌로 들어가는 길목인 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RNA간섭, 20년 만에 의약품으로 결실 맺다!
2018.08.14
흡수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농작물에 농약을 치듯 RNA조각이 든 물을 뿌려주면
식물
이 뿌리로 흡수하고 이를 먹은 해충이 RNA간섭으로 죽게 된다. RNA간섭이 기대를 받는 이유는 특정 염기서열을 표적으로 하기 때문에 다른 생물체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또 해충이 내성을 ... ...
[짬짜면 과학 교실]작은 생물들의 큰 세계
2018.08.11
몸속의 유산균 수를 많이 늘려야겠어요. 유산균의 수가 빨리 늘어나느냐고요? 동물과
식물
은 번식을 하려면 비교적 긴 시간이 필요한데 유산균을 비롯한 세균들은 그렇지 않아요. 세균은 활동하기에 적절한 환경이 되면 짧은 시간에 많은 수로 늘어나요. 그래서 여름철에 김밥을 사면 얼마 안 가서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