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연소가 일어나고 다시 배기구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조니까요. 사실 이 개념은 1930
년
부터 나오기 시작했으니 그리 새로운 것도 아니예요.”정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이론에서 구한 램제트와 스크램엔진의 추진력을 연구실에 설치된 극초음속충격파 풍동장비로 실험한다. 연구실 한 가운데를 ... ...
혈액형 진실게임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적혈구 막의 표면에 붙어있다.여기서 잠깐, O형은 왜 O형이라고 이름을 붙였을까. 원래 1901
년
란트슈타이너가 처음 O형을 발견했을 때는 C형이라고 명명했다. 하지만 이는 C라는 항원을 가지고 있다는 오해를 일으킬 수 있어 후에 응집원이 없다는 의미로 O형으로 바뀌었다고 한다.지금까지 밝혀진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서문에 자신이 창대로부터 물고기 연구에 많은 도움을 받았음을 밝혔다. 평범한 소
년
의 말에도 귀 기울일 줄 아는 겸허한 자세, 이를 통해 객관성을 확보하려는 연구 태도, 자신의 저술이 그와의 공동저작이라는 점을 밝히는 정약전의 공정함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그의 이런 태도는 제자에게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것도 아니다. 호주나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은 대규모 염전에 해수를 가둔 뒤 1~2
년
에 한 번씩 소금을 채취하기 때문에 염화나트륨 비중이 98~99%에 이른다. 반면 국산 천일염처럼 갯벌을 개조한 염전에서 생산한 천일염은 생산 과정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지만 미네랄 함량이 높다. ... ...
눈에 유전자 넣어 색각이상 극복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넣는 방식이 사람에게도 무해한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며 “수술한지 최소 1
년
이 지난 뒤에도 아무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한 다음에야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9월 16일 ‘네이처’ 온라인판에 실렸다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아놀드 몬토 박사는 대학 기숙사에 거주하는 약 100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6~2007
년
인플루엔자 시즌에 실험한 결과 마스크 착용으로 감염이 최대 50%까지 줄었다고 난해미국전염병학회의 연차총회에서 발표했다.몬토 박사는 학생들을 마스크를 사용하는 그룹, 마스크를 하고 손에 살균용 로션을 ... ...
사회기반시설 '평생 주치의'는 정보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시설물의 수명이 수십
년
짧아지면 그게 오히려 더 낭비인 셈이죠.”대한토목학회는 2007
년
과 2008
년
사회기반시설 국가자산관리 국제심포지엄을 잇달아 열어 IT를 접목해 대형시설물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일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알렸다. 심포지엄에서는 미래 고속도로의 운영과 관리, 국가 물관리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보라매병원 신경과 전문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6
년
부터 서울대 의대 신경과학 교실의 조교수로 루게릭병에 대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하고 있다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찾다가 마이크로RNA를 처음 발견했다.앰브로스 박사가 발견한 작은 RNA 조각은 2001
년
에야 ‘마이크로RNA’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조금씩 학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김 교수는 이때부터 마이크로RNA에 대해 연구했고 그가 이끄는 연구단은 현재 세계적인 마이크로RNA 연구팀이 됐다.단백질을 만들지 못해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계열의 고분자 물질로 만든다.하루 4만 5000t 담수 생산 시설 2011
년
완공“우리나라도 2011
년
엔 하루 4만 5000t의 담수를 생산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시설을 갖게 될 겁니다.”김 교수는 오는 2011
년
부산에 완공되는 해수담수화 시설에 대해 강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4만 5000t의 물은 10만 명 이상이 ...
이전
1293
1294
1295
1296
1297
1298
1299
1300
1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