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으로 터지는 폭탄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검출될 경우에는 폭탄이 불량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앞서 말한 불량일 때와 결과를
구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광자가 검출기 B에서만 검출된 폭탄을 모아 무한히 검정하면 전체 폭탄 중 33%의 정상 폭탄을 골라낼 수 있다.죽음의 바코드‘그렇게 힘들게 폭탄을 골라내서 뭘 하려는 거지?’그 순간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바닷속에 무엇이 있는지 확인했는데, 거북선을 만든 나무와 진흙은 밀도가 비슷해서
구분
하기가 어려워요. 이런 한계를 뛰어넘는 첨단 장비와 해저 탐사에 쓰이는 시추 장비를 사용한다면 더 정밀하게 바닷속을 살필 수 있답니다. 역시 조선 최고의 명탐정답군! 여봐라~. 이제 내 거북선이 어디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주요 4대 목이다. 꿀벌과 개미도 벌목에 속한다.도시인들이야 말벌과 꿀벌을 간신히
구분
하는 수준이겠지만 눈썰미가 좋았던 우리 조상들은 말벌과 곤충을 크기나 형태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불렀다. 말벌과 땅벌, 쌍살벌이다. 흥미롭게도 분류학에서도 이들은 각자 속명이 다르다. 최 박사는 ... ...
[시사] 배트맨 VS 스파이더맨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가까울수록 원 모양에 가깝다.거미줄이 비대칭인 이유대부분의 거미들은 빛을 겨우
구분
할 정도로 지독한 근시다. 그러나 거미줄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거미의 형편없는 시력에도 불구하고 그 간격이 꽤 일정하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 걸까?사실 거미는 거미줄을 치면서 거미집에 필요한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뇌에서도 관찰되는 현상이므로 비슷한 현상이 산모에게도 일어나 나중에 자녀의 냄새를
구분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기억력 좋아지고 대담해져출산과 육아는 엄마의 정서와 감각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다. 킨슬리 교수팀과 미국 랜돌프-메이콘대 심리학과 켈리 램버트 교수팀은 지난 199 ... ...
[변신] 일곱 손가락과 여덟 발가락 문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100%의 손가락이 아니라 140%의 손가락이다. 40% 차이지만, 오랜 역사 동안 사람들은 이를
구분
해왔다. ‘비정상’이라고. 그래서 무표정해 보이는 샤갈 그림속 주인공의 눈에는 다른 부류가 된 인간만이 느낄 수 있는 슬픔이 깃들어 있다.“이런 ‘다지증’은 염색체 이상으로 발생 과정에서 손가락이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맞습니다. 그런데 2차 대전 때 교회가 심하게 폭격을 받아서 어떤 게 누구의 유골인지
구분
할 수 없을 정도로 무덤이 파괴됐어요. 그래서 그냥 무덤을 덮고 그 위에 교회를 재건했지요.”다소 실망스러운 대답이었지만, 그 직원은 뒤스부르크의 지역 박물관에 메르카토르 전시관이 있다고 알려줬다. ...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결과일 뿐, 특별한 요인은 아닙니다. 더구나 인종이라는 개념 자체가 생물학적으로 서로
구분
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라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피부색을 둘러싼 논쟁은 더 이상 필요없는 것처럼 보였습니다.하지만 피부와 관련한 미스터리는 다 풀린 게 아닙니다. 오히려 복잡하고 다양한 의문이 ... ...
여성의 IQ는 남성보다 높아질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과정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이나 얼굴을
구분
하는 방법,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 기억하는 방법처럼 구체적인 과정이 어떻게 이뤄지는지가 연구 대상이다. 앞으로도 다소 모호한 개념인 ‘일반적 지능’보다는 뇌의 구체적인 능력을 자세히 연구할 가능성이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좀 더 길고 뾰족하게 생겼지. 하지만 크기나 외모만 보고서는 청개구리와 나를
구분
하기 어려워. 수원청개구리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노랫소리란다. 내 울음소리는 깽깽~‘꽥꽥’하고 높고 크게 우는 청개구리와 달리 나는 ‘깽깽’하며 청개구리보다 낮게 노래해. 청개구리와 나의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