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관"(으)로 총 3,9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연구 공간을 늘리는 것이 첫 번째 목표입니다.”개인적인 목표가 있으시다면?“연구하는 기관장이 되는 것이 꿈입니다. 저는 2006년에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20년 넘게 풀리지 않던 난제인 ‘유한대칭군 분류’를 세계 최초로 성공하며 그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수학 분야의 최고 학술지인 ... ...
- 소지섭은 난독증일까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해야 하는지에 관여하는 부분이다. 김 원장은 “뇌 뒤쪽의 문제를 보상하기 위해 다른 기관(하전두이랑)을 더 쓰게 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하전두이랑의 도움으로 난독증인 사람도 입과 혀, 성대로 그 단어를 물리적으로 구성해 느리지만 글씨를 읽을 수는 있다.난독증이 없는 사람들이 글자를 ... ...
- 달토끼가 알아본 2020 대한민국 달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올라가기 위해 툭 차듯이 밀어 주는 킥모터 역시 달 탐사의 성공을 좌우하는 추진기관 중 하나이다. 달까지 정확하게! 심우주항법기술달 궤도에 탐사선을 정확히 올려놓기 위해서는 항법기술이 필수다. 심우주항법기술은 먼 거리의 우주에 정확하게 탐사선을 보낼 수 있도록 지상에서 유도하는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능력을 갖추려면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주인(자비스의 경우 아이언맨)의 제6의 감각기관이 돼 주변을 탐색하 고 정보를 얻는 능력과,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새로운 능력이다. 그리고 이들은 모두 뇌지도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먼저 정보 탐색 기능을 보자. 자비스는 주인이 접하는 모든 주변 ... ...
- 남극 해저의 난파선이 썩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000년대 중반에 심해에서는 기묘한 동물이 발견됐다. 소화기관이 모두 퇴화된 채, 깊은 대양 속에 가라앉은 거대한 고래 사체의 뼈에 식물처럼 ‘뿌리’를 박고 양분을 빨아먹는 ‘오세닥스’다(7월호 특집 ‘고래’ 5파트 참조). 고래뼈 외에는 바다로 흘러들어온 나무토막에 유일하게 살아, 목조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알려진 바 없지만 ‘영원히 멈추지 않는다’는 점을 자꾸 강조하는 걸 보면 영구기관을 염두하고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다.열차에는 다양한 역할의 칸이 있다. 맨 뒤 20칸 정도의 ‘꼬리칸’에서부터 감옥칸, 단백질블록 생산칸, 물공급칸, 온실칸, 수족관칸, 교실칸, 객실칸 그리고 대망의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렇게 한숨 섞인 문장으로 시작하고 있다. “우리는 여러 세기에 걸쳐 경이로운 신체 기관인 뇌를 열심히 연구했다. 그리고 지금 우리는 놀라고 있다. 뇌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아는 게 거의 없다는 사실에 대해 말이다.”이제 세계는 뇌지도 경쟁에 뛰어들었다. 지도는 끝내 완성될 ... ...
- [독자탐방] 똑똑한 길을 만드는 교통신호체계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서울 상계중 2학년)도로교통공단을 취재해 보니 매우 다양하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이란 걸 알게 되었다. 도로교통공단의 업무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첫째, 방송이다. 여기서는 전국의 도로에 있는 CCTV 3600대로 얻은 교통 정보를 한국교통방송(TBN)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업무를 ...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바이러스가 세포내 물질을 빼앗아 자신을 복제하고 다른 세포와 기관으로 까지 감염을 확산시키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표적인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인 아데노바이러스는 숙주의 면역계가 자살을 명령한 세포를 도리어 살려낸다.아데노바이러스는 감염초기부터 E1B라는 ...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중에서는 유일한 사례다. 또한, 미국 조지아공대, 미시간대 등 17개국의 50여 개 대학 및 기관과 공동연구를 통해 학부생부터 글로벌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다. 앞으로는 외국인 교수와 학부생을 전체 정원의 20%까지 늘릴 계획이다.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자기주도적 첨단 교육시스템도 가동 중이다.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