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척! 하고 붙이면 심박수가 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서울대학교 김대형 교수팀이 몸에 붙일 수 있는 기억 장치를 만들어 심박수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어요.연구팀은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해 기억 장치를 제작했어요. 금 나노 입자는 같은 면적에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다른 화학물질과 만나도 잘 고장 나지 않아 기억 장치를 만들기에 매 ... ...
- [과학뉴스]제비야, 너는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제비야, 너는 어디서 왔니?위치 추적 기술은 위성을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로, 스마트폰의 지도 기능이나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에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에요. 또한 위치 추적 기술은 철새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기도 한답니다.실제로 과학자들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핵실험 직전인 1월 3일에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는 ‘합동 화생방 기술정보’ 보고서에서 위성 사진을 토대로 “풍계리 핵실험장의 원자로와 연결된 소형 건물은 삼중수소 분리 시설로 추정할 수 있고, 신축 중인 경수로와 그 아래 건축물이 중성자를 배출할 수 있는 시설일 ...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국내 과학계 뉴스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세계적인 학술·금융·비즈니스 정보 전문 기관인 톰슨로이터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명단을 1월 14일 발표했다. 자체 학술 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웹 오브 사이언스’를 이용해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등록된 논문 12만 건 이상의 ... ...
- [News & Issue] ‘알파벳’이 알려주는 약 제때 먹는 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베일에 싸여 있던 구글의 지주회사 ‘알파벳(Alphabet)’이 향후 어떤 사업을 펼칠지 힌트가 될 특허기술을 공개했다. 알파벳의 생활과학 사업부인 ‘버릴리(Verily)’는 1월 7일 이용자에게 약 먹을 시간을 알려주는 알림 기술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2014년 7월 등록된 이 특허는 사용자가 식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나는 별이다.지극히 무덤덤한 상태였기 때문에 나는 잠시 동안 내게 집중된 카메라들을 보고 이야기의 맥락을 놓친 건가 싶었다. 그 즉시 로그 파일을 띄우고 되짚어 본 결과 생각하던 바가 밖으로 흘러나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나는 별이다.’로그 파일에는 분명 그런 내용이 기록되어 있었다.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후보 1 상상이 현실로! 호버보드첫 번째 후보는 바로 ‘호버보드’야. 바퀴 없이 공중에 붕 떠서 나는 스케이트보드를 호버보드라고 해. 호버보드는 30년 전에 만들어진 영화에서 처음 등장했어. 당시에는 상상 속의 기계였지만, 이젠 진짜 만들 수 있게 됐단다. 과학으로 날게 된 호버보드호버보드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핵무기로 2차 세계 대전을 끝낸 미국은 전쟁 후에는, 아이러니하게도 핵무기를 걱정하는 신세가 됐다. 이념으로 서방과 갈라선 구 소련과 중국이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을 두려워한 것이다. 당시 미국 정치인과 정보부가 고안해낸 해결책은 ‘기술적 장벽’이었다.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이 원체 어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한국인의 밥상은 발효식품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다. 대표적인 것이 김치, 그리고 각종 장류다. 한국의 장은 주로 메주를 이용해 만드는데 된장, 고추장, 그리고 간장을 생각하면 된다. 보통 간장의 맛은 된장이나 고추장에 비해 폄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간장의 맛은 생각보다 훨씬 오묘하고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그 내용은 잘 모르더라도 한 번쯤은 들어본 이름이다.하지만 표준모형은 낯설다. 이름을 들어본 사람이 많지 않다.“표준모형이요? 잘 모르겠는데요?”물리학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후배(실험물리 전공)에게 물었더니 이런 답이 돌아왔다. 몇몇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물어봤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