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외기
에어
대령
사후
만지기
달기
d라이브러리
"
대기
"(으)로 총 3,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 골디락스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행성에서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은 행성의
대기
나 반사율과 같은 다른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개념들을 활용해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행성의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 ...
우주 방사선이 구름도 만들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것이다.연구팀은 수km 상공에서는 황산과 물의 증기가 빠른 속도로 결합하며, 그 속도가
대기
최하층부에 비해 10배까지 빠르다는 사실도 밝혔다. 또한 우주 방사선이 약한 상공 1km 아래에서는 구름 입자가 되기 위해 암모니아와 같은 다른 물질이 더 필요했다.그러나 CERN의 대변인인 재스퍼 커비는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임 교수는 “물론 이런 일이 일어날 확률은 극히 낮겠지만 만일 일어난다면 지구의
대기
권을 날려 보낼 만큼 대단히 위험하다”고 말했다.[2003년 NASA가 쏘아올린 스위프트 위성. 원래 목적은 감마선폭발을 관측하는 것이나 이번에 블랙홀이 별을 삼킬 때 나오는 제트를 관측하는 개가를 올렸다.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결과를 얻었다.밀러는 유리 기구를 교묘하게 배치해 원시 지구의
대기
를 재현했다. 즉
대기
를 이루는 물질로는 현재의 조성인 질소와 산소 대신 메탄, 암모니아, 수소를 넣었다. 그리고 화학반응의 촉매 역할을 했을 번개를 재현하기 위해 전기스파크를 일으키는 장치를 플라스크 안에 설치했다.한편 ... ...
종교에서 과학으로 Ⅱ 그림 속 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모든 행성이 돌고 있다고 생각한 그리스의 천문학자예요. 지구는 초록색의 물, 파란색의
대기
, 붉은 색의 불로 둘러싸여 있고 황도 십이궁을 대표하는 일곱 개의 행성들이 있네요*다산 : 아이를 많이 낳음. ➊ 카네이션➋ 백합➌ 딸기꽃보티첼리의 수수께끼1480년대 초에는 그리스 철학자인 플라톤에 ... ...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있어 물이 아래에서 위로 흘러야 하는데 말이다. 이는 사이펀의 원리 때문이다. 물과
대기
의 압력 차이 때문에 구부러진 관의 한쪽 끝이 물로 가득 차면 물이 반대쪽으로 흘러넘친다. 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오물이 중간에 멈춰 서지 않으려면?이렇게 트랩을 빠져나간 오물은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이산화탄소는 내가 맡는다지구온난화의 주범인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고민하던 황당맨은 새로운 이산화탄소 흡수제가 개발됐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주인공을 찾아나섰다. 주인공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연구단의 윤여일박사. 윤 박사는 KIERSOL-1이라는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재생도시홍수와 부자연스러운 물순환을 해결하기 위해선 빗물이 토양으로 흡수되고
대기
중으로 증발하는 양을 도시화 이전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한무영 교수는 “조선시대 경복궁 경회루에 호수를 만든 것은 빗물을 잡아두어 생태계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 ...
우주에서 가장 어두운 행성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 행성이 어떻게 모항성의 빛을 대부분 흡수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며 “
대기
권에 기체 상태의 나트륨과 칼륨, 산화티타늄이 많아 빛을 대부분 흡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왕립천문학회월간보고’ 9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근처를 지나가던 달이 지구의 중력에 붙잡혔다는 가설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지구의
대기
가 지금보다 훨씬 더 멀리까지 확장돼 있었어야만 한다. 이처럼 쌍둥이설, 분리설 등은 모두 오류가 있어 현재로서는 대충돌설이 가장 유력하게 인정받고 있다.[달의 앞면(왼쪽)과 뒷면(오른쪽)]한편 대충돌 때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