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로봇들의 겨울 축제, 스키 로봇 챌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스스로 해야 돼요. 기문의 위치를 파악하고, 가장 빠른 코스를 정하고, 몸을 움직여서 방향을 돌리거나 균형을 잡는 것도 모두 알아서 해야 하지요. 심지어 로봇이 넘어졌을 때에도 혼자 일어나야 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인공지능으로 씽씽! 스키 로봇 챌린지Part 1. 로봇들의 ... ...
-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뻗은 근육인 대퇴직근은 코스에 따라 시뮬레이터의 앞뒤 방향 기울기가 커지면서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근육 활성이 최고 30.54% 증가했다. 정강이 뒷부분의 두 갈래로 나뉜 비복근 역시 경사에 따라 근전도가 최고 30.52% 증가했다. 비복근 아래에 있는 가자미근도 최고 33.83% 활성이 증가했다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커지면서 이제는 인간과 자연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공존하는 삶을 살기 위해 새롭게 방향 전환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있다. 오늘날 인류는 현 세대와 미래 세대는 물론 자연까지 책임지는 새로운 가치관의 전환을 모색해야만 한다. ‘생태중심주의적 관점’은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며,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5=72°만큼 회전하는 대칭을 두 번 적용한 뒤(①), 정삼각형을 360°×1/3=120°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②) 정15각형을 360°×1/15 =24°만큼 회전하는 대칭을 만들 수 있어요. 360°를 기준으로 어떤 비율만큼 회전했는지에 주목하면 3과 5가 15의 소인수이고, 따라서 1/15=2/5-1/3이 성립하기 때문에 정1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최적의 경로를 만들어요. 그러면 관절에 달린 모터를 움직여서 무게중심을 이동해 방향을 돌리고, 압력, 기울기 센서를 통해 넘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지요. 이 모든 과정이 0.005~0.008초마다 한 번씩 연속적으로 이뤄진답니다. # 아직 스키 로봇의 움직임은 완벽하지 않아요. 하지만 연구가 ... ...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경우 주 출입구를 제외한 비상구를 1개 이상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런 출입문은 양방향으로 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필로티(Pilot·i벽이 없는 1층 기둥들) 구조의 건물들은 출입구 역할을 하는 문이 하나만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병목현상이 생겨 탈출로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한편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한다.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는 질서를 유지하며 낮은 엔트로피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밥을 먹고, 공부를 하고, 잠을 자는 등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 결과 생명체와 환경을 포함한 전체 자연계의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스키 사이에 넣은 관절은 스키가 비틀리는 정도를 조절한다. 여기에 스키 날과 바람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추가로 조절할 수 있게 했다. 비행거리 5~6% 늘리는 자세연구팀은 이들 변수를 조절하면서 실험을 거듭해 최적의 ‘양항비(揚抗比)’를 나타내는 각도 조합을 찾았다. 양항비는 물체를 ... ...
- [Culture] 우리집 고양이는 왜 화장실을 못 가릴까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대체로 쭈그려 앉아 배뇨를 합니다. 즉 서서 벽에 오줌을 뿌려놓지 않습니다. 만약 수직 방향으로 배뇨를 한 흔적이 있다면, 최근 스트레스 받는 일은 없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고양이는 변화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이사를 하는 큰 변화부터 사료가 바뀌는 작은 변화까지 모두 스트레스의 요인이 ...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수직 방향이 우선적으로 자라나면 기둥 모양이 된다. 연구팀은 얼음 씨앗이 수평과 수직 방향 중 어디로 자라날지 결정하는 변수 Γ★와, 눈결정이 자라나는 영양분이 되는 초기 과냉각수적 u0 등으로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Γ 1일 때는 접시 모양으로 자라나고, Γ≥1일 때는 기둥 모양으로 자라난다.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