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호
옹호
방어
방위
수호
후원
찬조
d라이브러리
"
보호
"(으)로 총 3,504건 검색되었습니다.
2012 올해의 과학책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흔적을 찾으며 생물의
보호
를 역설한다.2. 생물 멸종과 진화론 논쟁사라져가는 동물은
보호
의 입장에서도 관심이 필요하지만, 중요한 과학이론인 진화론의 증거로도 필요하다. 특히 올해 우리나라에서는 창조과학 관련 단체의 요구로 고등학교 생물학 교과서 일부에서 시조새(사진)와 말의 진화 ... ...
침팬지도 중년의 위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유인원을 대상으로 행복도를 조사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연구팀은 동물원이나 동물
보호
소에 있는 508마리의 유인원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행복도는 가까이에서 유인원을 돌보고 있는 사육사나 연구자들이 직접 평가했다. 그 결과 유인원도 사람처럼 행복도가 젊은 시절에 높았다가, 중년에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키우기 위해 을 공부한 에이브러험 링컨헬로우! 남북전쟁에서 승리해 미국 연방을
보호
하고, 노예를 해방시켜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대통령으로 뽑힌 링컨입니다. 업적만 들으면 엘리트 코스로 탄탄대로를 걸었을 것 같지만, 멋진 대통령이 되기까지 제게도 큰 고민이 있었습니다. 바로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이러한 하강운동이 주변에서 벌어지는 쌀알무늬 같은 대류운동의 침입에서 새끼흑점을
보호
한다. 만일 하강운동이 약해 주변 대류운동이 안쪽으로 침범하면 새끼흑점은 점점 줄어들고 마지막에는 사라진다.이번에는 성장하는 새끼흑점을 보자. 자기장을 가진 주변 물질이 모여들면 새끼흑점이 ... ...
기후변화: 사회기반시설물의 하소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에 따라 많은 생물학자들이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을
보호
하기 위해 활동하고 지질학자들은 날로 심각해지는 사막화 현상을 막기 위해 힘을 쏟아 부었다. 이렇게 많은 학자들이 기후 변화에 따른 피해 예방 및 해결에 힘쓰는 동안 한국의 수도, 서울 한복판에서 사람들을 ...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이 자료를 분석해 태양활동 극대기에 아리랑이나 천리안 같은 우리나라 인공위성을
보호
할 계획이다.이해해야 예측한다일반인 차원에서 태양폭풍에 대비할 수 있는 일은 북극항로로 가는 비행기를 타지 않는 것 정도다(과학동아 2012년 9월호 기사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 참조).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잡힐 정도로 많았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1968년 멸종위기 종으로 분류돼 천연기념물로
보호
되고 있지만 불법포획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급감했다.산양은 현재 강원도와 경상북도 산지에서 700~800마리가 서식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다른 멸종위기 동물보다 개체수가 많아 복원해야 할 필요성을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전달한다. 원래 세포에는 지질 이중막으로 구성된 세포막이 있어서 외부로부터 스스로를
보호
한다. 세포막은 물과 잘 결합하는 친수성 층과 물과 분리되는 소수성 층이 겹겹으로 쌓여 있어 외부자극 화학 물질이 통과하기 쉽지 않다.하지만 구아닌 수용체는 이런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는 특이한 ... ...
항생제보다 100배 강한 마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보호
막을 쓰고 다녀서 죽이기가 쉽지 않아요. 그런데 디알리디설파이드는 이
보호
막을 뚫고 들어가 균을 무찌른답니다.매운 마늘을 많이 먹으면 지구를 정복할 수 있을까?지구를 정복하려면 먼저 몸이 튼튼해야겠죠. 마늘을 꾸준히 먹으면 병균에 대한 면역력이 높아지고 암을 예방할 수 있어요.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군인 동행 없이는 출입조차 할 수 없다니, 하구 습지는 가깝고도 멀었다.그래도 이런
보호
정책 덕분인지 관리는 잘 이뤄지고 있다. 장항습지는 한강유역환경청과 고양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가 주기적으로 청소하며 관리하고 있다. 주로 한두 시간 동안 습지를 돌며 강에서 떠밀려온 쓰레기를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