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아직까지 설명할 길이 없다.과연 우리은하는 어떻게 형성됐으며 진화했을까. 더 나아가
외부
은하들은 어떻게 형성됐으며 진화했을까. 아마도 우리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우주를 이해하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2012년 발사될 예정인 가이아(GAIA)위성이 우리 은하 외곽까지 ... ...
컴퓨터 바이러스, 사람 몸에도 침투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1200~1800회 회전해 드릴처럼 혈전에 구멍을 내 피를 통하게 한다. 로봇을 움직이는 동력은
외부
자기장인데, X선으로 혈관 내부의 로봇을 보면서 조종할 수도 있고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체내에 들어가는 대다수 의료 장치들은 개발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 ...
섬유에서 시작하는 패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개발한 것이다. 보온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속이 비어 있기 때문에 가벼운 장점이 있다.
외부
의 열을 가져오는 섬유는 상변화물질(PCM)을 이용한 자동 온도조절섬유다. PCM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발명한 소재인데, 물질이 얼고 녹을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의 흡입과 방출 원리를 응용했다. 즉 물이 ... ...
520일간 떠나는 모의 화성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모듈 내부에서는 그야말로 시간이 철저히 정지된다.
외부
와 철저히 격리된 채 햇빛을 보지 못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먹고 마시고 쓰는 행동에 제약을 받는다. 또 성적(性的) 욕구를 해소하지 못해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다.하지만 실제 화성 여행이 이뤄질 경우 가장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노후한 선체가 지속적으로 일정한 힘을 받다가 어느 순간 선체 재질의 공명주파수와
외부
주파수가 일치하면서 순간적으로 큰 힘이 발생해 배가 부러지는 ‘피로파괴설’도 설 자리를 잃었다. 또 원래 설계에는 없었던 미사일이 탑재되면서 자체 하중을 견디지 못해 ‘전단 파괴’가 일어났다는 ... ...
관성과 ‘친해지길 바래’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한다. 그런데 자기의 속도를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인 관성은 속도를 바꾸려고 하는
외부
의 시도에 저항하는 성질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물체가 그런 시도에 똑같이 저항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같은 속도일 때 승용차에 비해 트럭을 멈추기가 훨씬 힘들다. 그 이유는 바로 ‘질량’의 차이 ... ...
7차 방정식의 해법, 140년 만에 풀렸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불립니다. 기체 분자가 공간 속에서 어떻게 움직이고 온도, 압력, 속도와 같은
외부
의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예측하기 위한 방정식입니다. 이 방정식은 정확한 해법은 없었지만 한 세기 동안 이상기체의 움직임을 모형화하는 데 널리 사용됐습니다.연구팀을 이끈 필립 그레스만 교수는 ... ...
수학이 좋아지는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그 분들이 워낙 연기를 실감나게 해서 느낌을 잘 전할 수 있었어요. 그 분들 덕분에
외부
에 공개되지 않은 동굴에서도 촬영을 할 수 있었고요. 외국에서 촬영을 하다 보면 현지사람들의 예상치 못한 도움을 받을 때가 많답니다.”촬영 이야기를 하는 PD님 얼굴에 웃음꽃이 피어났어요. 아무래도 ... ...
우리 몸의 칼슘 설명하는 새로운 초신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에 의해 발견된 이 초신성은 지구에서 고래자리 방향으로 1억 10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외부
은하 NGC1032의 외곽에 위치한다. SN2005E는 다른 초신성에 비해 밝기가 어둡고 빠르게 어두워져 그동안 폭발 원인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켜 왔다. 이번 연구에는 서울대 천문학과 출신인 캐나다 토론토대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백혈구 같은 대식세포가
외부
의 적(항원)을 먹어치우는 초기방어 행위를 선천성 면역,
외부
의 적에 대항해 전문 요원(항체)이 나가서 싸우는 방식을 후천성 면역이라고 한다. 한동안 면역학자들은 다양한 항체의 매력에 이끌려 후천성 면역 연구에 집중했다. 그 덕분에 면역학 교재의 90%가 후천성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