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d라이브러리
"
융합
"(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장치를 트랜스듀서, 즉 변환기라고 한다.그런데 최근에는 센서와 트랜스듀서의 기능이
융합
된 장치가 흔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센서의 의미도 포괄적으로 원초적 신호를 감지하고 변환하는 장치라고 이해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이해되는 광센서가 ... ...
신약개발에 공헌하는 '빛 공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가속기' 하면 소립자 연구에만 이용되는 어마어마한 돈덩어리 장비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과연 그럴까. 국내 유일의 가속기가 있는 포 ... 참여하고 있다. 조교수는 가속기에서 자신이 직접 개발한 전원장치에 대한 노하우를 핵
융합
로의 전원장치에 적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는 것이다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크며 다른 여덟 행성을 모두 합한 것보다 무겁다. 만약 목성이 조금 더 커서 태양처럼 핵
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었다면 태양계는 두개의 해를 가졌을지도 모른다.망원경으로 보는 목성의 표면은 암모니아, 메탄 등을 포함한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된 두터운 대기의 상층부다. 표면의 구름은 ... ...
복제된 인간에 머리 옮겨 붙이기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수 있으니 이보다 더 신나는 일이 없을 것이다.한편 1998년 11월에는 인간과 소의 세포를
융합
시켜 자라게 하는 기술도 개발됐다. 이 기술은 상상에서만 가능하던 해괴한 동물의 탄생을 가능하게 해 생명체의 질서를 파괴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인체의 특정부위만을 실험동물에서 얻는 일이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감각에 해당하는 감각대응센서기술, 감지된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여러개의 센서 신호를
융합
하는 기술, 주변 상황을 통해 행동을 결정하고 과거의 행동 경험으로부터 보다 나은 다음 행동을 결정하는 학습형 감각제어기술 등이 포함된다. 또 뜨거운 것이 손에 닿으면 얼른 손을 피하는 것처럼 센서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있는 유전자를 밝혀낼 경우 신약개발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정보통신과 생명공학의
융합
을 선언하면서 출범한 바이오인포메틱스는 회사 이름이 말해 주듯이 생물정보학(바이오인포메틱스)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각종 생물체의 게놈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새로운 유전자를 찾고 데이터 비교를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태양과 같은 초기 단계의 별에서는 약 1백억년에 걸쳐 주로 수소가 헬륨으로 바뀌는 핵
융합
이 일어난다. 그 다음에는 탄소를 거쳐 철의 합성까지 이어진다. 수소에서 철까지는 에너지 면에서 내리막길이다. 그 다음부터는 오르막길이다. 이런 원리를 따라 어느 별의 내부에서 만들어진 철이 우주 ... ...
1. 감성공학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일을 말한다. 디지털은 많은 양의 정보 전송뿐 아니라 이와 같은 다양한 감각 능력까지도
융합
시켰다. "("빛과 소금" 2001년 1월호)박세리의 골프스윙을 그대로 재현한다예를 들어 박세리가 어떻게 골프를 치는가를 다른 사람이 경험할 수도 있다. 골프의 스윙은 타이밍이다. 수백개 근육의 타이밍을 ... ...
복제인간 탄생 초읽기에 들어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똑같은 것으로 인간의 난자를 뽑아서 핵을 제거한 후, 대상이 되는 사람의 세포핵을
융합
해 배아를 만드는 것이다. 이 배아를 대리모에 이식해야 하는데, 벌써 50명의 여성이 대리모 역할을 자원했다고 한다. 이번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프랑스 태생의 생화학자 브리지트 봐셀리어는 “최초의 임신은 ... ...
타우 제로 (Tau Zero)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해결된다. 이 방식은 우주공간에 흩어져 있는 수소 등의 성간물질들을 빨아들여 핵
융합
연료로 쓰는 것이다. 이 경우엔 희박한 성간물질을 다량으로 흡입해야 하기 때문에 엄청나게 큰 입자포획기가 필요하지만, 그래도 연료를 직접 싣고 가는 것 보다는 훨씬 효율적이다. 램제트란 원래 공기를 흡입,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