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국무위원장의 회담을 앞두고 AI에게 트럼프 대통령의 목소리를 딥러닝으로 학습시켜 한국어로 연설하는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2020년에는 MBC 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에서 7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소녀 ‘나연’이의 목소리를 재현하기도 했습니다. 제 목표는 성우, 아나운서 같은 전문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대로 발견되면서 개인정보 침해 논란까지 일었습니다. 곧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이루다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고, 스캐터랩은 데이터와 AI 모형을 폐기하겠다고 발표했죠.그러나 AI 개발자와 관련 연구자들을 모두 입을 모아 이번 사례로 대화형 AI 서비스 개발이 백지로 ...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발사하는 차세대중형위성은 어떤 속도로 우리 지구를 돌까요? 차세대중형위성을 개발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세대중형위성이 고도 약 500km에서 원 궤도를 돈다고 밝혔습니다. 그럼 중력 상수와 지구의 질량은 정해져 있으므로 공식에 지구 중심으로부터 인공위성까지의 거리를 대입해 계산하면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함수로 신경망 따라하기 딥러닝에 사용하는 인공신경망은 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의 작동 원리를 이용해 만들었습니다. 뉴런의 수상돌기가 화학 신호를 받으면 축삭돌기로 전기 신호가 전달됩니다. 이것이 다시 화학 신호 형태로 축삭돌기 말단에서 다른 뉴런으로 전달되면서 몸에 반응 ... ...
- 에디터토크 2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측면에서 전하고자.편: 외계행성을 우주 부동산에 빗댄 아이디어가 재밌다. 그럼 심각한 한국의 부동산 문제는 어떻게 풀어야 할까.영혜·영경·영애: 편: 나 진지해.영혜·영경·영애: (외면) 3.편: SF 지면 담당 에디터 Y, 2016~2017년 운영하던 SF 지면을 부활시켰는데 계기는?Y: 그리워하는 독자·작가가 ...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떼처럼 모여 추위를 피하는 모습이 관찰됐다”라고 말했다. 해외에서 유입되는 황새는 한국의 텃새 황새와 교배하며 유전적 다양성을 높일 수 있기에 귀하다. 김 연구원은 “황새 서식지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핵심 월동지역에 대해 특별관리를 하는 등 앞으로 더 많아질 황새를 보호할 수 있는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법적·정책적 제도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한국에서 ‘윤리’는 일종의 바른생활과 같은 좁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해외에서 ‘ethics’는 바른생활을 뒷받침할 법적·정책적 제도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말했다. 각국에서는 공정성을 포함해 AI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연구가 아닌 만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기도 까다롭다. 김 교수는 “한국인의 단백체 지도를 만드는 컨소시엄을 만들어 적극 협력하면 2~3년 이내에 마칠 수 있을 것”이라며 “단백체 지도를 통해 국내 많은 환자와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고 목표를 밝혔다. 질량분석으로 ... ...
- [시사과학] 15분 만에 뚝딱 완성되는 음압병실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환자들의 요구 사항을 듣고 반영해 만들었다”며 “의료 분야 기술은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씀하셨어요. 또 “필요는 발명을 낳는다”면서, “어린이 독자 친구들도 사람들이 어떤 것에 필요를 느끼고 원하는지 항상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며, 생각하는 습관을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청주동물원, 토종동물 보호소를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종이 상자에 담아 싣고 충남 서산의 새로운 방사지로 향했습니다. 황새 방사 경험이 있는 한국교원대학교 황새생태연구원의 도움을 받아 먹이가 풍부하고 포식자 등 위험 요소가 적은 곳으로 정했지요. 방사지에 도착한 뒤 주변을 둘러보니, 뒤에는 강이 흐르고 앞은 탁 트인 농경지가 있었습니다.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