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실재
실제
진실
실태
실질
d라이브러리
"
현실
"(으)로 총 3,569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미술대학원에 진학했어요. 아직까지도 과학을 예술계에서는 생소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현실
이에요. 하지만 달리 생각해 보면, 과학과 예술을 접목시킬 기회가 아직 많다는 뜻이겠죠? 이공계 학생이라도 예술적인 소질이 있다면 큐레이터에 관심을 가져 보세요 ... ...
[포토에세이] 집 속에 집을 짓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초기에 묵었던 3층 아파트 속에 어린 시절에 살았던 성북동 전통 한옥이 들어있어 가상
현실
같은 분위기를 풍긴다. 작가는 “살면서 경험한 문화적 충돌과 동서양의 공간에 대한 해석 차이를 여러 겹의 투명한 천으로 표현했다”고 말한다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시기에 제시했고, 직후에 세 명의 미국인도 비슷한 결과를 발표했다. 힉스 메커니즘이
현실
적인 모형과 결합해 표준모형을 구축하게 된 것은 주로 스티븐 와인버그 덕분이었다(1967년). 그러나 이후 거의 반세기가 지나도록 힉스 입자는 실험으로 관측되지 않았다. 결국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이번에 갈등이 불거진 밀양과 같은 산악지역에서 765kV 고압송전선로를 지중화하는 것은
현실
적으로 불가능하다. 산을 뚫는 터널을 지어야 하는데 비용이 엄청나다. 기술적으로도 불가능하다. 지중화 상태에서는 누전과 발열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 절연체로 송전선을 감싸야 하는데, 현재 345kV ... ...
아무거나 중독이라 말하지 말라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사회 활동에 문제를 준다면 중독 물질로 규정하고 대책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그러나
현실
은 조금 다른 듯하다. 분명 중독 치료가 필요한 사람도 있지만 도박이나 마약처럼 확실하게 중독으로 취급하기엔 부족한 감이 있다.하 교수는 “게임중독이라고 찾아오는 환자 대부분은 실제로 게임중독이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2호
디스플레이 장치로 만들어져 있다. 평소엔 창과 벽, 바닥 같은 원래 역할을 하지만 가상
현실
을 체험할 때는 상황에 맞는 배경으로 변한다. 사람이 직접 촬영하거나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영상자료를 활용하면 어떤 배경이든 입체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언제든지 함께 놀 수 있는 친구친구는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9호
똑같지요. 만화가가 상상력을 이용해 새로운 것을 생각해 내면 과학자들이 그 상상을
현실
로 만들어 주기도 해요. 요즘처럼 이미지와 영상이 많은 시대에 글로만 공부를 하라고 한다면 어린이들의 관심을 전혀 끌 수 없다고 생각해요. 만화를 이용하면 아이들이 관심을 갖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넘어가는 미래가 올 것인지, 가브로쉬가 다시는 총알을 줍다가 죽을 이유가 없는
현실
이 도래할 것인지.0.999아니면 이런 충돌이 앞으로 영원히 반복될 것인지.1나는 알 수 없을 것이다.김창규2005년 과학기술창작문예중편 부문 수상. SF 창작과 각종 번역에 몰두하며 SF 창작 강의도 병행하고 있다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노력했다”고 말했다.김성원 교수는 “과학적 상상력이 SF 소설과 영화를 만들고, 다시
현실
을 창조했듯, 상상력을 자극하는 영화는 과학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면서 이번 영화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과학적으로 가능한 상상력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불투명한 요즘 사람들은 의식하든 의식하지 않든 스트레스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이런
현실
이 뇌에 영향을 미치고, 심하면 ADHD처럼 보일 수 있다.한 가지 위안이 되는 건 스트레스에 의한 뇌의 변화는 일시적이라 회복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적어도 쥐 실험에서는 코르티솔 주입을 중단하면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