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마지막"(으)로 총 5,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스콘 홍보-포스팅 l20221019
- 이건데요 봐주시면 제 사랑을 드립니다. 대충 스토리는 '어느날 모든것이 점점 떠오르기 시작했다. 구원만을 믿으며 '신' 을 기다리던 사람들은 인류의 5분의 4가 사망하자 새로운 지구를 찾아갔다. 마지막 남은 희망의 존재를 알지 못하고. . . . 30000년 후, 생존 확률 0.00000038%의 지구에 생명이 탄생한다. 그녀의 이름은그래비티스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인촌상취재기사 l20221018
- 관심이 많았는데 직접 만나뵐 수 있어서 나중에 저도 이런 큰 시상식에 수상자로 설 수 있게된다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친절하게 저희를 인솔해주신 편집장님과 매니저분들께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다음에도 이런 행사에 꼭 참여해보고 싶고, 기사를 읽어 주시는 기자분들도 도전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이번 기사를 끝내보도록 하겠습 ...
- 춫챌 공약 당첨자!포스팅 l20221017
- 다음에 고퀄! 이건 룰렛을 돌렸어요!'님'은 편의상? 생략했습니다!그래서 고퀄 라퀘는 권윤아 님이 당첨?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마지막 진심 리퀘 입니다....요것도 룰렛 돌렸어요.여기도 편의상 '님'은 생략했습니다! 진심 리퀘 당첨자는 한경설 님입니다!! 축하드립니다~ 당첨 되신 분들은 제가 빠르게 리퀘 빠르오겠습니다 ... ...
- 인촌상 시상식에 다녀왔어요!기사 l20221016
- 학생들의 도움이 있어 상을 받을 수 있었다며 모두의 노력을 인정해주셔서 감사하다고 겸손한 소감을 전해 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본부에서 특별상을 수상하셨습니다. 그리고 대표로 한 분이 "누리호 발사는 우리 손으로 설계부터 발사까지 직접이룬 성공이기에 앞으로 원할 때 우리 위성을 우주에 보낼 수 있게 되었다!"는 감 ...
- 습지의 비밀기사 l20221016
- 소비자 : 논우렁이, 물벼룩, 실지렁이, 하루살이 등 초식동물입니다. 다음은 2차 소비자 : 송사리, 미꾸라지 등 작은 육식동물입니다. 마지막으로 3차 소비자 : 메기, 가재 등 큰 육식동물입니다. 달성습지 생태학습관 3층에는 9월부터 11월까지만 하는 달성습지에 서식하는 곤충 전시회를 하고 있었습니다. 전시하는 많은 생물 중에 인상 깊었던 ...
- 공릉천 탐조를 다녀와서기사 l20221016
- 뱁새나 촉새 같은 새들은 또렷하게 보였습니다.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혹시 마지막에 들리는 후~후 소리는 무슨 새인지 아는 분 계실까요? 아신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계속 길을 걸으면 오리류나 도요, 기러기, 백로, 왜가리 등의 새들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곳에서는 저희와 같은 ...
- 누리호 우주로!(항공우주연구원 간담회및 인촌상시상식)기사 l20221015
- 성공하면 된다!"라고 하신답니다. 저는 이 말을 통해 실패가 두려워 상상을 멈추거나, 도전을 멈추지 않기로 다짐했습니다. 마지막 특별상으로는 한국형 발사체를 성공시키신 구문환님과 연구원분이 수상하셨습니다. 그분들은 모든 영광을 개발을 도왔던 분들과 그들을 뒷받침 한 분들께 돌린다고 하셨습니다. 제가 만약 인촌상을 받았다면 ”모두 제가 잘 이끈 ...
- 그 에슾프 스톨콘 있자나여포스팅 l20221015
- 소설웹소설웹툰 다 합치면 셀 수도 없을텐데 31일까지 그 전문가분들께서 다 보시려면 너무 힘드시지 않을까요? 그리고 조회수 한자리수이거나 아무것도 없어보이는 작품들도 공들여 평가가 될까요..? 마지막으로 독자평가 10%는 어떻게 측정하는거죠..? ...
- 파워에너지팀 - 221012 - 1탐사기록 l20221012
- 마지막 사진은 바로 옆 단풍나무입니다 완전 다르죠? ...
- 지사탐 10기 바닷물고기 현장교육에 다녀오다.기사 l20221011
- 않아서 제가 생각한 성게의 모습과 조금 달랐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가시의 움직임이 빨라서 놀랐습니다. 왕관해마 이야기 마지막은 왕관해마입니다. 왕관해마는 해초에 꼬리를 감아서 산다고 합니다. 이런 해마들은 수컷이 새끼를 낳고 바다에서 가장 느리게 헤엄을 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 오염되지 않은 아열대 바다의 얕은 곳에서 살고 서식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