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호
가리기
옹호
메우기
방지
폐지
뉴스
"
막기
"(으)로 총 1,72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연료 안심 사용에 한걸음 더...초소형 수소감지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04
‘수소센서’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수소는 폭발이 잘 일어나는데다 가볍고 누출을
막기
도 쉽지 않다.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려면 안전장치에 쓸 고성능 수소 센서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수소센서는 크기가 크고 성능도 부족해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KAIST 기계공학과 ... ...
“혁신 신소재를 찾아라”… 주목받는 ‘극한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띄워놓고 계속 회전시키며 가둬두는 기술이다. 그럼에도 진공을 뚫고 전해지는 열을
막기
위해 고효율 내열소재 개발은 꼭 필요하다. 국내에서 개발해 운영 중인 한국형핵융합실험로(KSTAR)는 토카막 내부에 열에 강한 탄소타일을 붙였다. 탄소는 섭씨 2000도 정도까지 견딜 수 있지만 핵융합 ... ...
[사이언스 지식IN] 돼지에서 첫 발생 A형 구제역...소 백신 써도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28
축사의 온도 환경을 높일 수 없기때문에 이 방법으로 대응하기는 곤란합니다. 전파를
막기
위해 방역당국은 주로 소독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보다 생존력이 강합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수돗물이나 비눗물(계면 활성제)에 닿기만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거대로봇에 기댄 오락영화… ‘퍼시픽 림’
동아사이언스
l
2018.03.26
중반까지 많은 이들 사이에 큰 인기를 얻었다. 강력하고 거대한 괴생명체 ‘사도’를
막기
위해 주인공이 거대한 유기로봇 ‘에바’를 타고 적과 싸운다는 파격적인 설정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세기말적 스토리와 선악을 무시한 설정으로 상당한 논란 역시 함께 낳았던 문제작이기도 하다. ... ...
훌륭한 연구 성과 뒤에 보이지 않는 ‘금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23
것으로 만족해야만 했다. 연구단의 구준서 책임기술원은 “외부 바이러스나 세균 전염을
막기
위해 2주간 다른 동물실험실에 방문했거나 동물과 접촉한 일이 있다면 동물실 출입을 금지한다”고 설명했다. 김찬기, 구준서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책임 기술원. IBS 제공. 19일 애기장대를 ... ...
KAIST, 전기차-드론 쓰이는 차세대 리튬-황 배터리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3.22
수명 특성을 보였다- KAIST 제공 연구팀은 우선 탄소 분말 사이에서 저항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전기방사를 통해 1차원 형태의 탄소나노섬유를 대량 제작했다. 그런 다음 고체 황 분말이 분산된 슬러리 (slurry, 고체와 액체 혼합물 또는 미세 고체입자가 물 속에 현탁된 현탁액)에 적신 뒤 ... ...
[표지로 읽는 과학] 곰팡이 호흡기 감염 막는 면역 작용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8
반응이 시작된다는 것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마우스 모델에서 이 곰팡이의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반드시 MelLec가 필요했다”며 “쥐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서도 면역 작용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 doi:10.1038/nature25974 Gordon Brown et al, Recognition of DHN-melanin by a C-type lectin ... ...
[코인개념사전] 보상의 법칙, 작업증명부터 중요도증명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3.07
보내기 어려워 하지 못하게 된다는 생각이었던 것”이라며 “하지만 모든 공격을
막기
쉽지 않았고 (당시) 그 시스템을 구현하지 못해 실용화 되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POW 방식의 블록을 모든 참여자가 나눠갖고, 이를 연결(체인)하는 합의 메커니즘으로 안정성을 확보한 것이 약 9년 전 ... ...
석유로 신약제조 물질을? 유기분자 핵심성분 쉽게 합성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부산물로 쉽게 분해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중간 단계에서 물질이 분해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계산화학 기법을 이용해 새로운 이리듐 촉매를 찾아냈다. 이렇게 찾아낸 촉매는 상온에서도 중간 단계에서 분해되는 것을 막고 탄소-질소 결합이 완성될 수 있도록 도왔다. 장 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 ...
[단독] 보호구 없이 실험하던 KAIST 학생, 플라스크 터져 안면부 부상…실험실 사고 76%는 ‘안전 불감증’ 탓
동아사이언스
l
2018.02.26
연구에 카보닐 디아자이드를 더 이상 쓰지 않기로 했다. KAIST는 유사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사고사례 전파 및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폭발 시 파편을 막아 주는 ‘블라스트 쉴드’ 등 보호 장비도 추가로 도입할 계획이다. 최근 5년간 대학 실험실 사고 주요 사례 ◆ 실험실 사고 88%는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