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37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
과학동아
l
2020.08.15
meteorite)이 있다. 아옌데 운석 내부에는 서로 다른 점무늬, 즉 콘트률이 수없이 많다.
모양
과 색이 제각기 다르다는 것은 물질들이 변성 없이 그대로 남아있고, 그에 따라 화학 조성 성분도 다르다는 뜻이다. 가령 밝은색을 띠는 무늬가 많으면 철이 많은 지역에서 생긴 물질이라는 뜻이다. 운석에 ... ...
욕심 많은 메기의 최후
팝뉴스
l
2020.08.14
큰 화제가 된 사진이다. 한 어부가 물고기를 건져 올렸다. 바다를 떠다니던 물고기는
모양
이 이상했다. 꼬리가 양쪽에 있는 것처럼 보였던 것이다. 건져 올리고 보니 상황 파악이 금방 되었다. 메기가 다른 물고기를 잡아 먹으려다가 저승길로 갔다. 너무 큰 것을 삼켰던 것이다. 메기는 삼킬 ... ...
스스로 납작해지는 2차원 그래핀 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3
‘ ACS센트럴사이언스’ 6월 1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탄소 원자가 벌집
모양
으로 이뤄진 2차원 물질 그래핀은 강도와 열·전기 전도성이 뛰어나 다양한 응용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아직 소량의 그래핀이 첨가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김상욱 교수 연구팀은 100% 그래핀으로 이뤄진 섬유가 ... ...
코로나19 바이러스 새 약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국제학술지 ‘ACS나노’ 최신호에 공개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겉면에 난 돌기
모양
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인체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해 바이러스 감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니카 올베라 델라 크루즈 노스웨스턴대 교수 연구진은 나노미터(nm·1억분의 1미터) 수준의 시뮬레이션 ... ...
소리로 화학반응 제어할 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주파수를 바꾸며 소리를 가하면 소리가 만든 미세한 상하 진동에 의해 접시 안에 동심원
모양
의 물결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소리의 주파수를 높이면 물결 사이 간격이 좁아졌고 낮추면 넓어졌다. 액체를 담은 용기의 형태를 바꿔도 패턴이 바뀌었다. 연구팀은 물결 패턴이 달라질 경우 ... ...
미국에서 퇴짜 맞은 진단키트...'더이상 굴욕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항원 부위를 찾아내는 게 핵심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크게 끝부분이 뭉툭한 돌기
모양
으로 세포에 침투할 때 쓰는 스파이크 단백질(S)과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담은 핵산(RNA)을 속에 감추는 외피단백질(E)·막단백질(M), RNA와 엉켜있는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N)로 이뤄져 있다. 이중 S 단백질과 N ... ...
손 대신 지느러미 택했지만...자연은 손가락뼈 유지한 수중동물 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지대를 떠나지 않았다”고 해석했다. 반면 멸종한 동물들은 지느러미 속 손가락뼈의
모양
을 상대적으로 크게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고대 악어 중 한 종은 손가락이 7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 4000만년 전부터 3400만년 전까지 살았던 고대 고래의 한 종류인 바실로사우르스는 지느러미 속 뼈가 ... ...
[프리미엄 리포트] 마스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2020.08.08
지형을 탐사하고 각종 실험을 진행해 화성의 비밀을 파헤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동차
모양
의 탐사 로버인 퍼시비어런스가 화성 표면을 돌아다니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도록 설계됐다. 퍼시비어런스의 외형은 2012년 화성에 착륙해 지금도 임무를 수행하는 ‘선배’ 로버 ‘큐리오시티(Curiosity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대기에서 치는 새로운 번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8
현상을 일으키고 번개를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목성 대기에 형성된 버섯
모양
의 독특한 구름 구조와 내부에서 두 종류의 번개가 치는 원리를 설명한 그림이다. 고도에 따라 온도와 물의 어는점이 달라 형성되는 액체방울의 성분이 달라지고, 그 결과 각기 다른 성분의 액체가 각기 ... ...
엑셀 썼다가 날짜로 오인돼 이름 강제로 바뀐 유전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유전자 이름을 바꾸는 게 쉬웠냐는 것이다. 마치 마이크로소프트에 유전학계가 물러선
모양
이지 않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브루포드 코디네이터는 “이것은 엑셀 소프트웨어의 제한된 이용 사례로 대다수가 이용하는 기능을 바꾸려는 동기는 거의 없을 것”이라며 “엑셀은 잠깐 지나가는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