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특정"(으)로 총 1,53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2017.08.08
- 지난 2013년 ‘사이언스’에는 이 혼란을 해결한 논문이 실렸다. 즉 에게르텔라 렌타의 특정 균주(DSM2243이라고 명명)만이 위의 대사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즉 장속에 에게르텔라 렌타가 있더라도 이 효소가 없는 다른 균주일 경우 혈액 내 디곡신 농도가 유지됐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2017.06.20
- 것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물론 게놈에서 일어나는 DNA 염기의 임의 돌연변이 속도를 특정한 값으로 놓고 산출한 결과이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추정일 뿐이다. 아무튼 이에 따르면 60만 년 전에서 20만 년 전 사이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했다는 말이다. 이런 중에 30만 년 전에는 현생인류가 아프리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하루 중 언제 얼마나 먹느냐에 따라 효과와 지속가능성에 큰 차이가 난다는 말이다. 특정 음식의 소화 속도와 흡수율은 개인에 따라서 차이가 크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다이어트 식단 역시 개인에 맞춰 짜야 효과가 크고 꾸준히 실천할 수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 나에게 맞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2017.05.10
- 표지로 널리 쓰이는데 문제는 그 전제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즉 특정한 분자의 구조만을 인식해야 하는데 다른 생체분자들에도 달라붙을 경우 데이터가 엉망이 된다. 한 조사에 따르면 시판되는 항체의 60~70%가 이런 문제를 안고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지난 2012년 발견된 호르몬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사소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2017.05.07
- 단어 조합)을 보여주거나 규칙적인 패턴(예, 봄-여름-가을-겨울 순으로 나오는 나무 사진, 특정 단어를 공통적으로 연상시키는 단어 조합)이 있는 자극을 보여준 후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어떤 목적과 큰 방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또 내 삶이 얼마나 쓸모없지 않고 중요한지, 삶이 얼마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2017.04.18
- 당신은 PAI/PAI일 가능성이 있다. ‘다중감각적 풍미 지각의 개인차’를 읽어보면 특정 음식에 대한 선호도에는 후각이나 미각 한 가지 보다는 두 감각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게 더 일반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직까지 수용체가 제대로 규명이 안 돼 그 전모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를 만들까?동아사이언스 l2017.04.16
- 당시 튜링의 연구만으로는 호랑이의 세로 줄무늬나, 제브라피시의 가로 줄무늬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형성되는 줄무늬는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 도마뱀 무늬는 폰 노이만의 세포자동자로 설명 그동안 많은 동물들의 무늬 형성 원리를 튜링의 방정식으로 설명해 왔습니다. 그런데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조 그룹리더는 두 차례의 상용화 경험을 했다. 하나는 특정영역의 DNA를 수십만 배로 증폭하는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2시간에서 20분으로 대폭 줄인 'PCR 칩'을 개발한 것. PCR 칩은 삼성테크윈에 기술을 이전했다. 다른 하나는 피 한 방울로 각종 암, 류머티즘 등 21가지 병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2017.04.04
- 년 전 시작됐다고 주장하는 입장은 지질 데이터나 화석을 근거로 든다. 즉 동위원소비나 특정 화합물의 존재, 스트로마톨라이트 같은 화석이 증거다. 예를 들어 호주 서부의 35억 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스트로마톨라이트를 시아노박테리아의 화석으로 보고 이때 이미 산소발생 광합성이 일어났다는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나는 나쁜 인간’이라는 결론에 다다르는 사람들보다 ‘나는 나쁜 행동’을 했다며 특정 행동에 죄책감을 한정시킬 줄 아는 사람이 더 행동 수정을 잘 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나쁜 인간’보다 ‘나쁜 행동’을 고치는 게 훨씬 수월하기 때문이다(Tangney et al., 2005). 따라서 실수나 잘못을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