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속"(으)로 총 1,8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04
- 제주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아름다운 섬입니다. 제주 올레는 이 아름다움을 여유롭게 눈으로 즐기면서 여행할 수 있는 길입니다. 올레를 걸으며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그 속에 숨어있는수학을 찾아보는 여행을 시작해보려고 합니다.‘올레’는 제주 방언으로 ‘거리에서 대문까지, 집으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03
- 코스타리카 정글은 온통 초록이다. 이 녹색의 천지에서 딸기독화살개구리는 유난히 눈에 띈다. 몸통은 새빨갛고 다리는 코발트 블루기 때문이다. 다른 동물들은 천적의 눈을 피하고자 우중충한 보호색을 띠는 마당에, 이들은 무슨 배짱으로 강렬한 원색을 과시하는 걸까.아니나다를까, 뱀이 몰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03
- 맛있는 수산물을 계속 먹으려면?파란 바다가 보이는 국립수산과학원에 도착하자 박진일 박사님께서 기자단 친구들을 반갑게 맞아 주셨어요. 박사님은 우리나라 바다에서 많이 잡히는 수산물에 대해 설명하셨어요.“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요. 바다에서 나는 수산물을 잘 활용할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3
- 사드(THAAD, 종말단계고고도지역방어) 논란이 뜨겁다.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광명성 4호 발사를 연료 삼아, 2년 가까이 질질 끌던 한반도 배치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급기야 2016년 내 배치될 거라는 예측까지 나왔다. 그러나 정작 한반도에 사드가 필요한가 라는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문제를 두고 찬반 ... ...
- [Editor’s Note] 고수과학동아 l201602
- 가장 추울 때 가장 뜨거웠다. 2월호를 만들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1월은, 한 주가 넘게 이어진 한파와 가장 좋은 잡지를 만들려고 하는 기자들의 노고가 충돌하며 때아닌 장마전선을 만들었다. 여름 장마는 뜨겁고 축축한 무거운 비를 만들지만, 편집부 기자들과 디자이너들이 만든 겨울 장마는 차고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02
- 수중과학수사는 물에서 시작하지만, 물 밖까지 이어진다. 수중과학수사대가 찾은 증거를 육상에서 분석하는 연구도 중요하다. 전북지방경찰청(이하 전북청) 과학수사대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수중증거·사체 분석실험을 했다. 유전자, 지문, 부패 세 분야에 걸친 실험은 기존 과학수사와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02
- 중생대는 거대한 공룡의 시대지만, 하늘을 나는 익룡중에서도 공룡만 한 덩치를 자랑하는 종이 있었다. 바로 케찰코아틀루스다. 날개 너비는 약 10m, 키는 거의 5m나 되는 하늘의 거인이었다. 그런데 이렇게 거대한 파충류가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었을까. 미국 텍사스 주에는 7000만 년 전에서 6650만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02
- 세계에서 가장 춥다는 남극 한 지역의 최저 기온은 영하 89.2℃. 수 분만에 인간의 눈, 코, 심지어 폐까지 얼어붙게 한다. 이런 곳에서 물을 공중에 흩뿌리면 그 자리에서 얼음으로 바뀌고 만다. 그런데 한 과학자가 영하 150℃에서 얼지 않은 물을 발견했다.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극저온 상태의 물이 20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02
- 맹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 1월 초, 2016 태국 탐사대는 태국 남부 사뚠 지역의 따뜻하고 아름다운 바다에서 특별한 체험을 했다. 하얗고 고운 모래가 잔뜩 깔린 무인도에서 소라게도 만나고, 파도가 칠 때마다 자갈돌들이 와글와글 들려주는 바다 이야기도 들었다. 멸종 위기에 놓여 있는 이 지역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02
- 1월 12일 오전 9시, 부산에 위치한 해군 작전사령부. 세종대왕함에서 500m 떨어진 부둣가에 노란 출입통제선이 쳐졌다. 선 너머로 다이버 네 명이 잠수를 준비하고 있었다. 해군 헌병단 수중과학수사대의 훈련현장이다. 고무보트 한 정이 부두 주변을 바쁘게 움직이며 안전을 점검했다. 영하 1℃의 날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