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리내
갤럭시
은하
하한
하순
d라이브러리
"
은하수
"(으)로 총 302건 검색되었습니다.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05
견우성 (牽牛星)인 독수리자리의 알테어와 마주보고 있다 거문고별자리의 직녀성에서
은하수
쪽으로 비스듬하게 걸쳐 있는 특이한 근접 식연성(近接蝕連星) 주기 12일 22시간 22분으로 광도가 변하는 식연성이며 1784년 영국의 굿리크(Goodricke) 에 의해 처음으로 알려졌다 결정의 반면상 및 4반면상의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04
자외선은 차단하고 이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은 그냥 통과시킨다 따라서 성간먼지가 많은
은하수
쪽의 하늘을 관측하기에는 자외선보다 적외선이 훨씬 유리하다이산화탄소 중 탄소(C)를 기준으로 환산한 무게 탄소의 원자량은 12고 산소의 원자량은 16이므로 이산화탄소의 원자량은 44(12+16×2)다 ... ...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03
수 있을 뿐, 하늘의 별보기는 별따기만큼 힘들다. 그래서 여름철 밤하늘을 수놓는
은하수
를 보려면 가로등 없는 시골로 가야하는 것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사람의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불빛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밤하늘 보기가 더 수월해진다.16세기초 이탈리아 천문학자 갈릴레오 ...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02
보일까? 맑은 날씨에 주변 불빛이 없다면 별들의 집단이 어슴푸레 느껴질 것이다.
은하수
가 좀더 뚜렷이 보이는 듯하게 느껴지지만 그 정체는 명확하지 않다. 이제 쌍안경으로 도전해보자. 쌍안경에서는 두 성단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다른 별무리들과는 확연하게 구분돼 성단임을 알 수 있다. 두 ... ...
밤하늘에 핀 장미한송이
과학동아
l
200401
동쪽 한귀퉁이에 어렴풋이 드러나 있는 작은 성운 다발 하나를 기억할 것이다. 겨울철
은하수
가장자리의 이 성운은 마치 작은 장미처럼 보인다. 장미성운은 밤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운으로 알려져 있다. 천지를 창조한 신이 있어 일부러 그렇게 만들려고 해도 그만큼 장미와 닮게 만들 수 없을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12
히아데스성단이 포진해 있다. 한편 이 성단의 북쪽에는 페르세우스자리가 위치해 있어
은하수
가 지나간다. 그러므로 이 부근은 유명한 성운과 성단이 상당히 많아 여러 관측가들에게 사랑받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별을 헤아리며 시력테스트플레아데스성단은 맨눈으로도, 소형망원경이나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12
식별이 가능한 8천9백여 개의 별들과 그에 의한 별자리 그리고 잘 알려진 성운·성단·
은하수
등을 투영시킨다 또 밝은 1등성·2등성 45개에는 특별히 1개씩 투영기가 붙어 있고 변광성(變光星)도 나타낼 수 있다 두번 째 태양계 투영부에서는 태양과 달 그리고 여러 행성들의 궤도운행을 묘사하고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10
안드로메다를 찾아가보자.최초로 관측된 외계은하 안드로메다‘기차가 어둠을 헤치고
은하수
를 건너면….’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는 ‘은하철도 999’란 만화가 있다. 주인공들은 은하철도를 타고 우주를 여행을 한다. 은하철도의 최종목적지는 어디일까? 바로 안드로메다은하다. ... ...
별밭에 숨어 있는 보물 석호성운
과학동아
l
200309
특징이 다소 불명확하다. 또 성운인지 아니면 별의 집합체인지도 뚜렷하지 않다. 하지만
은하수
지역이므로 배경에 대단히 많은 별들이 깔려 있어서 두 성운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소형망원경에서는 석호성운의 특징인 암흑 띠가 초보자라도 쉽게 알아볼 수 있을 만큼 뚜렷이 드러난다. 성운은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09
교수는 천문학을 업으로 삼으려는 학생들에게 여름방학 때 시골에 가서 밤하늘의 별과
은하수
를 바라보라고 권한다. 몇시간씩 밤하늘을 쳐다볼 수 있다면 천문학을 해도 좋다고 말한다. 하늘이 선택한 사람만이 천문학을 해야 한다는 의미일까.물론 이 교수 자신도 흔들릴 때가 있었다. 연구를 더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