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소리
소리
말소리
목청소리
음향
소극성
오디오
d라이브러리
"
음성
"(으)로 총 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07
톤의
음성
명령을 내리면서 벨트에 달린 진동기의 진동을 조절한다. 진동의 위치와
음성
명령에 따라 개가 움직이도록 훈련을 시킨 후 실제 개의 움직임을 조종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개에게 ‘달려(run)’라는 명령어와 짧게 좌우로 진동을 주면 앞을 향해 달린다. 좌회전은 왼쪽에서 짧게 한번만 ... ...
6화 폴과 폴의 대결!
수학동아
l
201206
“이게 뭐야? 반가운 사람은 어디 있어?”그러자 다시 찌르르~ 전기가 오더니 피타의
음성
이 들려 왔다.‘서두르지 마. 문제를 풀면 만날 수 있을 거야.’규칙 1 가로, 세로 줄에 1~4 숫자가 하나씩만 들어가도록 한다.규칙 2 줄로 연결된 같은 그룹 안에도 1~4 숫자가 하나씩만 들어가도록 한다.문제 ❸ ... ...
스마트폰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06
확인하면 그 시간에
음성
녹음 기능을 작동시킨다. 물론 사용자 몰래 가능하다. 녹음된
음성
파일은 와이파이(WiFi)나 3G네트워크를 통해 주소록 빼가듯 탈취한다. 항상 네트워크에 접속돼 있는 스마트폰 특성의 악용이다.GPS 수신기를 통해 위치 정보도 확인한다. 사용자가 어느 지역에 자주 있는지,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과학동아
l
201206
이동해 공동이 생기며 땅이 내려앉는 것이다. 2005년 6월 전남 무안과 2008년 5월 충북
음성
에서 발생한 싱크홀도 이 같은 원인으로 생겼다.[➊ 인공 싱크홀. 홍수에 대비해 만든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 몬티셀로 댐이다. 높이 21.6m에 폭이 8.4m다. 초당 1370m3의 물이 빨려들어간다.] [➋ 이 구멍은 약 14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06
보낼 때도 이런 부호화 과정을 거쳐 보내고 수신 쪽에서도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하고
음성
을 듣는 복호화 과정을 거칩니다.”사용되는 곳이 많다보니 기업이나 국가 기관과 협력연구도 많이 한다. 현재도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등과 함께 연구를 하고 있다. 졸업생 대부분이 굴지의 대기업에 ... ...
소리 분리해 소음·잡음 잡는다
과학동아
l
201204
식기 부딪치는 소리 등 다양한 잡음을 걸러준다.휴먼 인터페이스 대중화 촉발스마트TV
음성
인식과 동작 인식, 얼굴 인식 등 다양한 휴먼 인터페이스는 앞으로 일반화할 것으로 보인다. ‘앵그리버드’와 같은 게임을 스마트TV 화면을 보며 손 동작만으로 즐길 수도 있다. 얼굴 인식을 통한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03
로봇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화제가 됐던 아이폰의
음성
인식 ‘시리’에도
음성
인식에 인공지능 기능이 추가됐다. 단순히 명령어 검색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와의 대화를 이해하고 의도를 해석하려고 한다. 이런 인공지능 기능이 더해지면 훨씬 복잡한 서비스 로봇이 나올 수 있다 ... ...
선 연결 없이 노트북 화면이 50인치 TV속으로
과학동아
l
201203
어댑터가 받아들인 디지털 신호는 다시 오디오와 영상 신호로 나뉘어져 오디오는
음성
으로, 영상은 화면으로 전달된다.얼마 전까지 720p(progressive)의 해상도인 HD급까지 지원됐으나 최근에는 1080p의 풀 HD급 해상도까지 전송이 가능해졌다. 세로로 1080개의 줄로 화면이 나뉘었다는 뜻이다. 같은 크기의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03
태연하게 나만이 아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지문을 찍고 눈을 대어 안구인식을 했다.
음성
인식도 통과했다.“자신과 같은 것을 마주한다는 건 불편한 경험이죠. 비밀번호도 다 알고, 자기 치부도 다 알고, 능력과 지식과 하다못해 욕망까지 동일하니.”그는 금고 문을 열고 안에 든 작은 뼛가루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03
발음의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논문을 최근 발표했다. ‘지터’와 ‘쉼머’라는
음성
분석기기를 이용해 발음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혀 체조’와 ‘발음 정확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발견한 것이다. 조 교수는 “일반 사람들이 막연하게 좋을 것이라 생각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분석해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