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주"(으)로 총 9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11
- 하지만 정말 독을 가졌을지에 대해서는 과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오른쪽은 호주의 페렌티에왕도마뱀. 왕도마뱀류는 뱀과 가까운 도마뱀 무리로 턱에 있는 분비선에서 독소를 분비한다.]혹시, 독을 지닌 공룡은 없었을까?오늘날의 파충류 중에서 일부가 독을 가지고 있다면, 혹시 공룡 ... ...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과학동아 l201511
- 연구하는 데 필요한 노하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화성학회는 유럽과 호주에도 연구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계획대로 된다면 연구소는 총 네 군데가 된다.1 바위에서 샘플 채취로버가 가지 못하는 복잡한 지형에는 사람이 직접 간다. 한 연구원이 험준한 바위 위에 올라 샘플을 채취하고 있다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11
- 말, 소, 강아지, 박쥐, 생쥐 등의 소변활동을 고속 카메라로 촬영했다(사진➋).화학상 : 호주 플린더즈대 콜린 래스톤 교수팀은 삶은 달걀을 다시 날달걀으로 만드는 기계를 개발했다. 비커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전단응력(Shear stress)을 이용해, 변형된 단백질(삶은 달걀)을 원래 단백질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10
- 지적이 이전부터 있었다. 또 아마존 토착민인 수우리족, 카리티아나족이 쓰는 언어가 호주 원주민의 언어와 비슷하다는 주장도 있었다. 하버드대 연구팀은 아마존과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인들의 유전자를 채취해 통계적으로 분석했고 그 결과 둘 사이에 유전적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다국적 ... ...
- [과학뉴스] 짠물에 버티는 식물, 식량문제 해결할까과학동아 l201510
- 3분의 1은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땅이다. 염분 농도가 높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호주 맬버른대 스태판 퍼슨 교수팀이 염분이 많은 땅에서 식물의 생장을 돕는 단백질을 발견했다.연구팀은 외부의 염분 농도가 높을 때 식물 내에서 증가하는 단백질을 찾아 셀룰로오스 합성효소 복합체(Companions of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10
- 랩 음악치료 전문가가 있을 정도로 활발하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 미카엘 타우트 교수, 호주 멜버른대 펠리시티 베이커 교수 등은 ‘음악치료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며 랩을 이용한 치료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미국 뉴욕주립대 미카엘 비에가 교수는 랩을 이용한 치료 영상과 학생들이 직접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10
- 집어넣어 새로운 종의 식용 바나나를 개발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 거예요.그 뒤, 호주 퀸즐랜드 공대의 제임스 데일 교수는 실제로 바나나의 유전자를 이용해 파나마병을 이겨낼 수 있는지 연구했어요. 야생 바나나에서 발견한 곰팡이균 저항 유전자를 캐번디시 바나나의 유전자에 끼워 넣은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09
- 드디어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됐다. 이 때 이름이 FIRA컵으로 바뀌었다. 이후 브라질, 호주, 중국, 오스트리아 등 세계 각지에서 열리며 발전을 거듭했다.김 교수는 “글로벌 기업의 후원 제의가 들어왔는데, 그 51 기업의 하드웨어를 써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며 “한국 로봇산업의 발전을 위해 ...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과학동아 l201509
- 음식을 먹GIB는다고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나 심장질환 위험이 올라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호주 시드니대 연구진도 올들어 같은 내용의 연구를 ‘미국 임상영양학지(AJCN)’에 발표했다.그렇다면 지방 공포증은 어디서 시작됐을까. 캐나다 맥마스터대 역사학과의 하비 리벤스테인 명예교수는 ‘음식,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09
- 1년 정도 되는 멀고 작은 지구형 행성을 찾는 데 특화돼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칠레, 호주, 남아공 세 곳에 관측시스템(KMT Net)을 설치해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PART2. 탐사선 : 위대한 여정의 시작BRIDGE.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