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설
건축
형성
확립
건립
설계
배제
d라이브러리
"
구축
"(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기다리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아직 돌파해야 할 장애물이 남았다. 수소와 수소차의 가격을 낮추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
해야 한다. 수소를 생산하고 운반하고 저장할 기술도 개발해야 한다. 연구자들은 이 장애물을 한발씩 헤쳐가고 있다. 연료전지에 쓸 저렴하면서 효율 좋은 촉매를 개발하고,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 ...
이동의 ‘주체’가 변하다│신희철 한국교통연구원 4차산업혁명교통연구본부장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새로운 모빌리티 시스템을 위한 인프라를 건설해야 한다. 자율주행차를 위한 5G 시설
구축
이 대표적이다. Q. 지금은 교통 시스템의 일부가 공공의 영역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적은 곳이라도 운행을 하는 구간이 있다. 기업 주도의 모빌리티 시스템이 생기면 교통 소외지역이 늘지는 않나 ... ...
미래 모빌리티 도시 공간구조를 바꾸다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충돌 회피, 교통량 조절 등 드론 교통관리체계를 개발해 2022년까지 시범노선을
구축
하고 이후 2025년까지 전국적으로 드론 하늘길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만약 드론이 자율주행차처럼 개인 이동 수단으로 대중화된다면 역시 도시 공간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먼저 건물 디자인부터 달라질 ... ...
굴뚝 산업에서 반도체 산업으로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비쌌다. 충전소 숫자도 적었다.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적극적으로 충전소를
구축
하고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해 가격 격차를 메우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전기차 성능이 빠르게 개선돼 1회 충전만으로 400km 이상을 달릴 수 있는 모델이 나오면서 성장의 동력을 얻었다.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5년 571 ... ...
잔잔하던 산업에 물결이 일다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만약 자동차기업이 독자적으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한다면 기존에
구축
된 브랜드 경쟁력 덕분에 IT 기업보다 자율주행 시스템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도 있다. 하지만 IT 기업에 관련 핵심 기술이 종속된다면 자동차산업에서의 주도권을 이들 기업에 내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 ...
운전 약자·도시 문제 해결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자동차는 현대 도시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새로운 형태의 도시가 설계됐고, 도시 내에
구축
된 도로망으로 사람의 이동과 사물의 운송이 가능해졌다. 모빌리티의 변화와 동반된 도시 변화는 현재에도 일어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은 약 100년 동안 성장을 거듭했고 2010년대를 지나면서 생산량이 ... ...
자율주행의 또 다른 눈│최선욱 네이버랩스 연구원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모든 순간에 자연스럽게 연결될 것이라는 의미다. 반대로 현실과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구축
된 메타버스가 등장하면 지도 속에서 새로운 삶이 펼쳐질 수도 있다 ... ...
친환경 물류부터 라스트 마일 배송까지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필요가 있다.아마존과 UPS 등 글로벌 유통기업에서는 드론 배송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구축
하고 있다. 각국 정부 역시 제도 마련에 나서고 있다. 2019년 한국 정부는 ‘드론 분야 선제적 규제혁파 로드맵’을 발표하며 세 단계에 걸쳐 드론 택배에 필요한 인프라와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202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능력과 전력 효율을 모두 갖춘 엣지 디바이스용 반도체가 필요하다.엣지 컴퓨팅 환경이
구축
되면 AI와 IoT 장치의 활용도도 더욱 높아진다. 우선 서버에 집중된 연산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많은 데이터가 몰려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해킹에 대한 우려도 상대적으로 적다. ... ...
[특집] 새로운 화폐, CBDC의 등장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사람 모두가 이 상자를 나눠 갖게 된다. 모두가 가진 상자를 ‘연결(체인)’해 망을
구축
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으로 불리게 됐다. 덧셈과 곱셈 등 복잡한 수학연산의 조합으로 이뤄진 블록을 풀면 그 대가로 비트코인을 받는다. 이 블록을 푸는 일을 광산에 비유해 채굴이라 한다. 암호학적으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