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설명했습니다. 또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는지 블랙박스 영상으로 기록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을 LED 기기와 연결했어요.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LED 불이 켜지고, 그것이 유리창에 반사돼 운전 내내 블랙박스에 녹화되게 한 것이지요. 이 발명품으로 대통령상을 받은 국 학생은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국가생 물종목록에서 곤충 카탈로그를 확인했다. 이곳에 해당 종이 없으면 신종이나 미기록종일 가능성이 커진다. 이를 통해 점등에모기속이라는 사실까지 알아낸 뒤에는 전 세계에 있는 점등에모기속의 형태 정보를 수집했다. 이때 확인하는 것은 ‘검색표’다. 검색표란 두 개의 대응하는 형질을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안 교수는 “KAIST 학생들이 그랬던 것처럼, 일상에서 벌어지는 실패의 순간들을 기록해 보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일상에서 어떤 실패를 했는지, 어떤 성공을 했는지 목록을 적어보면 아마 성취가 더 많을 거예요. 우리는 실패를 엄청 크게 생각해서 실패에 짓눌려 있는 한편, 일상적으로 ... ...
- [현장취재] 우동수비대 발대식 4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주말을 구분해서, 동물원이 개장한 직후 6시간 동안 1시간씩 나누어 대원들이 관찰해 기록할 예정입니다. 그러면 왜 미어캣과 일본원숭이를 조사할까요? 마승애 교수님은 “기존 우동수비대 조사를 통해 정형행동을 확인한 동물원을 선정한 것”이라며 “특히 미어캣은 우리나라 동물원에서 널리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적힌 수학, 과학 내용을 제대로 알고 있는지 묻기도 하지요. 먼저 자기소개서와 학교생활기록부를 몇 번 쭉 훑어보고, 거기서 예상 질문을 뽑았어요. 그다음 아버지와 모의로 면담을 진행해봤어요. 아버지가 질문을 읽어주면 제가 마주보고 앉아서 대답했지요. 실제로 자기소개서에 방정식을 ... ...
- [과학뉴스] 관측 사상 가장 큰 화성 지진, 그 원인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달리 화성은 활발한 지각 운동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전까지 인사이트가 기록한 큰 규모의 화진 두 건은 소행성의 충돌로 일어난 것이었다. 페르난도 연구원은 이번 S1222a 화진을 일으킨 원인도 소행성의 충돌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다른 화성 탐사선 연구팀과 함께 새로 생겨난 운석 ... ...
- [4컷 만화] 나비는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전 북아메리카 중서부 지역에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또 식물에 대한 기록과 현재 나비가 먹는 식물을 바탕으로 오래전 나비의 기주 식물을 찾아냈어요. 기주 식물은 곤충의 먹이가 되는 식물을 말합니다. 연구진은 “모든 나비과 곤충의 조상 기주 식물은 나비와 비슷한 시기에 ... ...
- [현장취재] 공원에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 2023 기자 커뮤니티 데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있었고, 한 명당 가질 수 있는 쪽지의 수는 3개로 제한되어 있었죠. 쪽지에는 생물 종을 기록하거나 효창공원에 떨어진 쓰레기를 줍는 등 공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미션이 적혀 있었어요. 또, 다른 기자 친구들과 함께 하는 협동 미션을 통해 처음 만난 친구와도 자연스럽게 친해질 수 있었답니다 ... ...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폭우의 횟수와 강도가 커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민승기 POSTECH 환경공학부 교수는 “과거 기록이 부족해 폭우가 정확히 얼마나 잦아지고 강해질지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방향에 대해서는 동의가 이뤄져 있다”고 설명했다. 이유는 기후변화다. 지구 평균 기온이 오르면 대기가 최대로 머금는 포화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0조 W) 출력의 레이저를 개발하면서 세계 최고 출력 레이저의 타이틀을 거머쥔 곳이다. 이 기록은 7년이 지난 2023년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에선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의 주인공이 된 아토초 레이저 연구뿐만 아니라 그보다도 더 짧은 펄스인 젭토초(10해분의 1초) 펄스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