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업사이클드푸드 왜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업사이클드 푸드를 활용하면 환경 문제와 식량 위기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맛도 영양도 만점이죠! 업사이클드 푸드, 식품 폐기물을 줄인다! 전 세계에서 약 7억 명의 사람들이 굶주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 세계 식품의 17%가 가정 또는 유통, 판매 과정에서 버려지고 있어요.● 또 전체 ... ...
- [통합과학 교과서] 네로의 상태가 심상치 않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아휴, 오늘 엄청 춥네요.”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새해부터 건강을 위해 매일 운동하기로 약속했어요. 작심삼일로 끝내지 않기 위해 큰 결심을 하고 추운 날씨에도 옷을 챙겨 입고 길을 나섰지요. 열심히 뛰고 있던 그때, 멀리서 네로의 기침 소리가 들렸습니다. # 동화마을에 무슨 일이? 네 ... ...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영재학교 학생들에게 소수교 활동은 재밌는 오락거리일 수밖에 없다. 또한 소수를 매개로 수학에 관심을 더 가질 수 있으니 일석이조다. 대학에서 생명공학을 공부하고 싶어하는 소수교 부원 최도휘 학생은 2학년 때 소수교에 가입했다. 그는 영재학교에서 1년을 보내며 ...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메르센은 1588년에 태어난 프랑스 신학자이자 수학자다. 어렸을 때부터 그는 종교와 철학에 관심이 많았고, 대학에서 철학과 신학 공부를 마친 뒤 1611년 미니미 수도회에 입회했다. 1620년 파리의 로얄 광장 수도원 원장으로 선출돼 평생 이곳에서 살았다. 어쩌면 무료할 수 있는 수도원 생활에서 ... ...
-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가장 먼저 다룰 수학자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유명한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다. ‘정수론의 창시자가 피타고라스라면 정수론을 학문의 경지로 끌어올린 사람은 페르마’라는 말이 있을 만큼, 페르마는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로 불린다. 미분이라는 개념을 거의 처음 쓴 사람도 페 ... ...
- 편견을 넘는 수학자 이탕 장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955년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난 장 교수는 그저 수학을 좋아하는 어린이였다. 10살 무렵 그의 부모가 일 때문에 북경으로 떠나면서 할머니와 단둘이 살았고, 급기야 1966년 ‘문화대혁명’이 일어나며 학교가 문을 닫았다. 그 영향으로 15살 때 어머니와 시골 농장에서 일을 했다. 이때 틈틈이 장 교수 ... ...
- 타디그레이트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지난 줄거리지하 도시정부인 메디움 시티의 모든 공적 업무는 AI 시스템 ‘우나’가 담당한다. ‘선’은 이곳 지하 도시의 유일한 구태인(비사이보그인)이다. 최대 명절인 ‘조우의 날’, 선은 공립 도서관이 있는 중앙 광장에 가기 위해 1인용 캡슐 열차에 탄다. “선, 이제 곧 메디움 시티 중앙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혹등고래 한 마리가 배 주변을 돕니다. 그러더니 인간이 내는 고래 소리에 ‘꾸엉’ 응답합니다. 배 위 과학자들의 목적은 혹등고래와 대화를 하는 겁니다. 외계 지적 생명체와 대화하기 위한 전 단계로, 먼저 혹등고래와 이야기를 나눠보겠다는 거죠. 과연 혹등고래와 진짜 ‘대화’를 나눴을까 ... ...
- 참가자 모두 짝이 된다! 게일-섀플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미팅에 참가한 사람 모두가 좋아하는 사람과 짝이 되는 방법이 있을까? 사실 미팅에서 커플이 되기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사랑의 화살표가 엇갈려 서로 다른 상대를 쳐다보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남자 1호는 여자 1호를, 여자 1호는 남자 2호를, 남자 2호는 여자 2호를, 여자 2호는 ... ...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학자의 호기심은 끝이 어딜까? 피자를 공평하게 나눠 먹는 기상천외한 방법은 수학자의 단골 연구 주제다. 피자를 자를 때 모든 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도록 한다면 똑같이 나누기가 비교적 쉽다. 하지만 선들이 원의 중심이 아닌 다른 점을 중심으로 지난다면 어떨까? 조각마다 크기가 다르니,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