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전
원문
신청서
지원서
입학원서
입학
원본
d라이브러리
"
원서
"(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부하는 방법이 문제예요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때 라디오를 만지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견했던 저의 소질을 살리기도 했어요. 막상
원서
를 제출하고 나니까 불안해지던대요. 이번에도 작년과 같이 재수생선풍이 불 거라는 소문 때문에 다소 겁먹은 것이죠.
원서
쓴 뒤 겁을 먹기도 하 - 저는 처음부터 과기대를 점찍어 두었어요. 과학을 ... ...
내 손으로 계획한 21세기의 도시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교양과목과 함께 나에게주어진 것은, 전공기초과목인 묵직한
원서
한권이었다. 한 학기는
원서
와 씨름하면서 지냈다. 2학기에는 설계표현기법이 전공과목으로 배당돼 있었다. 그림 그리는 것에 흥미가 있던 터라 정말 재미있게 또 한 학기를 보냈다.그러나 2학년이 되자 전공에 관계된 약간은 무거운 ... ...
과학계에 새바람 일으킨 과학기술운동을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과학자는 이러한 편향성을 극복해야 합니다. 요즘 의대생들은 거의 모든 공부를 외국
원서
에 의존합니다. 그러나 우리 현실에 책임지는 의사가 되기위해서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시작되는 의학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의료교육이 단지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애를 배워주는 과정이 ... ...
수동적 자세로는 뒤지기 마련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주로 배우는 내용은 수학과 물리의 도움을 많이 받는다. 물론 책은
원서
를 보아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영어실력은 갖추어 놓아야 한다. 우리가 미국보다 전자공학의 후진국이기 때문에 우선 그들의 책을 이용, 공부할 수밖에 없다.우리가 당당히 그들을 누르고 전자공학의 최고 선진국으로 ... ...
과학기술대 첫 졸업생들의 얘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먼저 과기대를 선택하게 된 동기부터 이야기하겠습니다. 저는 과기대가 생겼다는 것을
원서
교부(9월) 때야 알았어요. 과기대로 가는 것에 대해 선생님을 비롯해 주위의 반대가 많았습니다. 정권이 바뀌면 어떻게 될지 모르는 대학, 선배가 없는 대학, 또는 여학생을 객지에 보낸다는 것 등 이유가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어쩌면 인생의 첫 단추가 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 뒤
원서
쓸 때까지 약 2년의 시간이 주어집니다. 이 기간동안 장래를 구체적으로 설계해야 하는데, 될수록 빨리 정하는 게 유리해요. 그리고 그 결심을 굳혀나가야죠.김창-사실 무슨 과를 택하면 좋을지 참고할 수 ... ...
망원경을 가진 인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연구한 해양학의 모든 지식을 머리속으로 챙겨 넣고 싶었던 것이다.그런 각오로
원서
와 접하면서 공부했더니 이제는 조금 적응이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미숙한 점은 많다. 지금에 와서야 고등학교 때 영어라 하면 책도 보기 싫고 “내가 영문과 갈것도 아닌데…”하는 생각을 한것이 원망스럽다. ... ...
제2의 석기시대를 예상하며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라는 단어를 관심있게 접하게 된 때는 고등학교 2학년때였다. 그러나 실제로 대학교 입학
원서
에 '요업공학과'라는 단어를 적기 전까지는 공학(요업 공학)을 한다는 의지를 확인하기는 어려웠다.내가 선택한 전공과의 만남이 한편으론 희망차기도 했고, 한편으론 공대라는 어감의 것들로부터(단순성, ... ...
5개 대학 수석합격자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할 수 없이 집에서 공부했죠. 이후론 주로 학원에서 했어요. 거기서 꾸준히 하다가
원서
쓴뒤 1주일간 독서실을 처음으로 가보았는데 잠만 오던데요.●―공부하러 대학 갔지만…사―모두 대학 초년병이 되는데 대학생활을 어떤 식으로 할 것인지 계획을 세워 두었나요?김―요새 선배님들을 자주 ... ...
화석연구의 외길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야외지질조사와 화석연구당시는 서울대학에서만 지질학과가 설치되어 있었다. 입학
원서
를 제출하고 시험장에 나가니 지질학과 지망생이 약 1백20여명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러나 합격후에 알고보니 1차 지망에서는 5명만이 합격되고 나머지 15명은 모두 의과대학 지망생중 제2지망으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