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정"(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답이 돌아왔다.대원들은 모두 구조됐다. 섀클턴의 탐험은 그 순간 명백한 ‘실패’로 확정됐다. 아무도 애초의 목표대로 남극을 횡단하지 못했다. 아니, 남극 대륙에 제대로 발도 디뎌 보지 못했다. 하지만 출항부터는 2년, 부빙에 갇힌 뒤부터는 1년 7개월이 지나는 동안, 이들은 최악의 남극 조난 ...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양성자가속기연구소(J-PARC)는 연구소 내에 핵변환 전문 실험 시설 두 기를 건설하기로 확정했다. 이 시설은 빠르면 2016년부터 건설에 들어갈 예정이다. 미라 프로젝트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SAEA) 전략기획실 오오이가와 히로유키 박사는 “문부과학성이 2014년 3월 새로 발표한 ... ...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년 11호
- Anti-commutation Relation’의 약자인데, 양자장론에서 페르미온들의 일종의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을 내포하는 식이다. 이 식은 다음과 같다. 이 식은 정의의 간단한 적용인 다음 식들로부터 따르는데, 각자 한 번 확인해 보도록 강하게 권한다. d차원 클리퍼드 수 체계란 클리퍼드 곱함수들의 ... ...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들의 실재성 역시 알파 센타우리에서의 관측결과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불확정성원리에 의하면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알 수 없다. 위치나 운동량을 측정하는 행위가 서로를 교란하기 때문이다. 이 둘은 실재가 아닌 것이다. 하지만 지구에서 위치와 운동량의 실재성 여부는 알파 ... ...
-
- ❸ 양자역학 - 행렬 곱셈으로 양자 운동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재미있게도 여기서 영향을 받은 하이젠베르크가 다시금 양자역학을 집대성하는 불확정성 원리를 발표하지요.이처럼 보른은 양자역학의 물길이 막힐 때마다 나타나 물꼬를 틔어 준 위대한 수학자입니다. 그는 양자역학 기초를 세운 공로를 인정받아 1954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습니다. 양자역학의 ... ...
-
- 양자를 훔친 악동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바로 ‘보어의 상보성 원리’와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였다.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은 1925년 발표된 루이 드브로이(1929년 노벨물리학상)의 이론에 기반을 뒀다. 드브로이는 프랑스의 제5대 브로이 공작인 빅토르 드브로이의 둘째 아들이었다. 제1차 ...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0.5로, 대륙에서 1위를 차지해도 강팀이 많은 남미의 팀과 겨뤄야 돼서 본선 진출을 확정할 수 없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호주는 2010년부터 아시아 대륙에 속해 예선을 치르게 되었다.대한민국이 속한 H조, 정말 행운의 조일까?본선 티켓을 얻은 32개국의 나라들은 어떤 방법으로 조를 편성할까? 얼핏 ...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한 번쯤은 들어봤을 물리학 이론을 빈 공간이라는 개념에서 접근한다.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원리가 튀어나오는가 하면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이 주인공이 된 힉스가 등장하기도 한다. 저자가 일상에서 느끼던 빈 공간에 대한 소소한 에피소드도 향신료처럼 등장해, 어지러운 빈 공간에서 헤메는 ...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거의 없 다. 존재한다면 미생물일 가능성이 높다. 미국 항공우 주국(NASA)은 아직 시기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유로 파에 착륙선을 보내 구성 성분과 생명체의 존재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다.엔셀라두스 역시 2005년 얼음과 수증기 기둥이 발견 된 이후 가장 중요한 탐사 대상으로 꼽히고 있다. 2008년 에 ...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운동량을 동시에 아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원리 때문이다. 불확정성원리에 따르면 위치와 운동량의 부정확도의 곱이 플랑크상수(h)보다 커야 한다. 양자역학에서는 플랑크상수의 크기까지만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그런데 프랙탈은 무한히 확대될 수 있다는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