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동"(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숫자로 보는 뉴스] 윙윙~ 모기 살려! 모기가 3/10만큼 줄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DMS)’라는 기계를 이용해 모기의 수를 조사했어요. DMS는 모기가 자주 활동하는 시간인 오후 6시부터 오전 5시 사이에 모기가 좋아하는 이산화탄소★를 뿜어내서 유인한 다음, 기계 안으로 들어온 모기의 수를 자동으로 세요. DMS를 곳곳에 설치해두면 특히 어디에 모기가 많은지, 갑자기 어떤 곳에 ... ...
- 아마존강 탐험대, 출격!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직접 탐험을 떠나신다고요? 저는 브라질의 탐험가이자 다이빙 강사, 작가, 프로듀서로 활동하는 유리 사나다입니다. 2024년 4월부터 10월까지 아마존강 전체를 탐험하기 위해 프로젝트 ‘아마존강 : 얼음에서 바다로’를 준비하고 있죠. 우리는 생태학자, 공학자 등 13명의 국제 연구원으로 구성된 ... ...
- [출동, 슈퍼M] 알찬 계획표, 어떻게 만드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시간, 운동 시간, 취미 시간에 따라 배경색을 다르게 칠하면 구분하기 쉬워요. 각각의 활동이 하루 24시간 중 몇 시간을 차지하는지 분수로 나타내보세요. 모두 더하면 1일이 되는지도 확인해서 알찬 생활계획표를 만들어 보세요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 공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별처럼 활짝 피는 공버섯 공버섯의 존재를 처음 알게 되었을 땐 흥분이 가라앉질 않았습니다. 세상에 이렇게 신기한 버섯이 있다니! 버섯들이 이 ... 근무했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대학원에서 공부 중이다. 용어 설명●효소: 체내에서 생명활동과 관련된 화학 반응에 기여하는 화합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하고 현명한 오픈채팅 사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어린이는 오픈채팅에서 취미가 같은 지인을 만나기도 하죠. 어떤 어린이들은 열심히 활동해서 채팅방의 운영자가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편리한 오픈채팅방에도 여러 가지 문제가 있어요. 익명의 사람들이 자유롭게 모이다 보니,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밖에 없죠. 어린이 여러분은 이런 ... ...
- [DAY3 미생물 혁신센터] 장 속 미생물로 자폐를 진단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조사했어요. 조사 결과 자폐 스펙트럼이 있는 어린이들은 다른 어린이보다 신경전달물질 활동과 관련된 미생물을 훨씬 적게 갖고 있었습니다. 또 다른 어린이들에게는 없는 5개의 독특한 미생물을 갖고 있었지요. 연구팀은 “어린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장내 미생물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면 자폐 ...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시민과학으로 사막거북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거북을 무선 송신기로 찾아낸 뒤, 30분마다 위치를 기록한 GPS 자료를 내려받지요. 거북의 활동량이 줄어드는 겨울에는 달에 한 번씩 거북의 위치를 기록했습니다. 추적 결과, 소노란사막거북은 한 주에 100~200m 정도 이동하며 약 0.02km2 정도 넓이의 땅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간혹 몇 ... ...
- [현장취재②] K-시민과학 지구사랑탐사대, 국제 학술 대회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되었다”고 감회를 밝혔어요. 그러면서 “지사탐 대원들이 항상 기록을 하듯, 시민과학 활동은 데이터를 생성한다”며 “만들어진 데이터의 접근성을 높이고, 데이터가 새로운 연구에 이용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미국은 시민과학에 대한 법이 제정돼 있고, 유럽은 정부의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대한 영상까지 준비했으니 놓치지 말라고~. 여름이 다가오면 모기가 하나둘 활동을 시작합니다. 아파트가 몰려 있는 주택가 주변 웅덩이에선 모기의 알을 흔히 볼 수 있어요. 알의 주인은 바로 빨간집모기! 암컷 빨간집모기가 한 번에 낳는 알은 대략 200여 개입니다. 장구벌레와 모기의 얼굴까지 ... ...
- [숫자로 보는 뉴스] 그림의 떡도 30번 보면 배불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착각하게 된 거예요. 연구를 이끈 티크 안데르센 교수는 “생각을 하는 것만으로도 뇌가 활동하기 때문에 아무것도 먹지 않고도 배가 부르다고 느낄 수 있어요. 이런 점을 비만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요.”라고 말했어요. *용어정리활성화:생물의 몸이나 몸속 물질이 그 기능을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