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서
꼬투리
핑계
근본
원인
시비
뉴스
"
실마리
"(으)로 총 60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선 충돌로 궤도 바뀐 소행성, '30만 살' 나이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실험했다. 최근 해당 실험 데이터를 분석해 소행성 궤도 변경과 지구 방어에 대한
실마리
를 얻은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올리비에 바르누인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팀 등 5개 국제 연구팀은 31일(현지시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NASA '쌍(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 ...
우주에 '결점' 생기는 보편 과정, 실험으로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상태(에너지가 가장 낮은 상태)에서 결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구현하는 데에
실마리
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doi.org/10.1038/s41567-024-02592-z ... ...
원자력학회, 사용후핵연료 처분 한국형 솔루션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한국원자력학회 로고. 한국원자력학회 제공 한국원자력학회가 사회 난제 중 하나인 사용후핵연료 처분에 대해 '한국형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한국원 ...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원자력 혜택을 누린 우리 세대가 사용후핵연료 문제 해결의
실마리
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
미토콘드리아로 퇴행성 질환 제어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왼쪽부터) 김유식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김수진 박사, 탄 스테파니 박사과정생. KAIST 제공.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확인됐다. 퇴행성 질환 발병과 진행 과정을 통제하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김유 ... ...
오류 적은 차세대 양자컴 실현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코발트(Co)가 포함된 육각형 벌집 구조 산화물에서 양자 스핀 액체를 구현할 수 있는
실마리
를 찾아냈다. 연구결과는 5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됐다. 일반적인 자석은 온도가 낮아지면 전자 스핀이 정렬된다. 물이 얼음이 되면서 물 분자들이 정렬되는 것과 비슷하다. 스핀은 ... ...
블랙홀 진화
실마리
'중간질량 블랙홀' 우리은하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진화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 중간질량 블랙홀이 블랙홀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
실마리
라고 보고 있다. 연구팀은 허블망원경이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해 오메가 센타우리 성단에 있는 별 7개의 속도가 성단의 탈출속도 이상으로 빠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같은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 ...
日 거대 중성미자 검출기, 우주 비밀 담은
실마리
발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일본의 '슈퍼카미오칸데'는 물을 사용한 세계 최대 규모의 중성미자 검출기다. 5만 톤의 물이 담긴 수조를 활용해 중성미자를 발견한다. Super-Kamiokande 제공 중성미자(Neutrino)는 '유령 입자'라고도 불리는 우주의 기본 입자로 다른 물질과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다. 지금도 빛에 가까운 속도로 우리 몸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절박하게 필요한 이공계 인력을 충분히 양성할 수 없다. 여전히 해결의
실마리
를 찾지 못하고 있는 의정(醫政) 갈등도 이공계 인력 양성에는 감당하기 어려운 시한폭탄이다. 의대 쏠림의 현실도 암울하지만 학생과 전공의가 떠나버린 의대의 상황은 훨씬 더 심각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 ...
'난자 냉동' 가능시기 정확히 예측할까…난모세포 긴 수명
실마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20주 된 인간 여성 태아는 난소에 600~700만 개의 난모세포를 가지고 있다. 난모세포는 난자의 이전 단계 세포다. 약 30만 개는 사춘기까지 생존하고 약 1000개는 50세 전후 폐경기까지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평생에 걸쳐 정자를 새로 만드는 남성과 달리 여성은 일생동안 만 ... ...
[푸드테크 뜬다]⑤ 미생물로 만든 대체단백질, 우주식량으로도 쓰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사람에게 적당한 아미노산 조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직 효능의
실마리
만 확인했을 뿐 중간 대사산물은 무엇인지 등 자세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와 사람에 적용했을 때의 안전성 확인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다음은 김필 교수, 윤현진 교수와의 일문일답. Q. 다른 영양소보다도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