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각
전지
앞발
뉴스
"
앞다리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불가사리, 로봇으로 다시 태어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김지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건축물에 쓰이는 '텐세그리티' 구조를 응용해 불가사리 로봇을 개발했다. 텐세기리티 구조는 단단한 소재와 부드러운 재료가 엮이며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특성을 보인다. 불가사리의 다리 속 검은색이 단단한 소재, 붉은 색이 유연한 소재다.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사자 '도도'는 왜 입맛을 잃었나
2020.08.0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올 1월 17일 주말을 맞아 오랜만에 모처럼 가족 여행을 하던 중이었습니다. 갑자기 동물원에서 다급한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사자 도도가 심하게 구토를 한다는 겁니다. 급히 차를 돌려 청주동물원으로 향했습니다. 도도에게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요? 사실 보름 전인 1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마와 동이족 문명의 성쇠
2020.07.14
올해 장마는 기록적인 폭우로 중국과 일본에서 큰 피해를 내고 있다. 사진은 13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을 관통하는 창장이 불어나 수변 시설이 물에 잠겨 있는 모습이다. 신화/연합뉴스 제공 최근 ‘황제내경, 인간의 몸을 읽다’라는 책을 재미있게 읽었다. 중국 의학자이자 철학자인 장치정 북경중 ... ...
1억1000만년 전 한반도에선 두발로 걷는 악어가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김경수 진주교대 교수-임종덕 국립문화재연 박사팀 발자국 세계 첫 발견 "중생대 최상위 포식자...공룡과 경쟁했을 것" 김경수 진주교대 교수와 배슬미 연구원, 마틴 로클리 미국 콜로라도대 교수,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장팀이 경남 사천 자혜리에서 세계 최초로 두 발로 걸은 원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주기율표 113번 원소 '니호니움(nihonium·원소 기호 Nh)' 발견의 주역인 규슈대 모리타 고스케 교수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6.9. 연합뉴스 제공 19세기의 시작과 함께 기억할만한 사건은 전지의 발명이다. 이탈리아 파비아대의 알렉산드로 볼타(1745~1827)는 전기를 연구하던 도중 전지를 발명했다. ... ...
[게놈과 인류사]16세기 멕시코로 건너간 아프리카인의 고단했던 삶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16세기 아프리카에서 멕시코로 온 첫 아프리카 노예들의 고단했던 삶을 인류학과 유전체학을 이용해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억눌린 사람들의 일상을 복원하는 역사 연구에 과학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역사가와 생명과학자가 만나 옛 인류의 게놈을 분 ... ...
"로봇 연구자는 아이디어에 머물지 말고 효율과 경제성까지 따져야 해요"
과학동아
l
2020.05.31
이달 30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휴보랩에서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가 로봇의 움직임에 대해 참가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대전=이영혜 기자 yhlee@donga.com “로봇이 고작 몇 걸음을 걷는데도 생각보다 더 많은 수식과 장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평소에 만들고 싶은 로봇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리의 상대성 이론에 관하여
2020.05.26
올리버 색스는 기면증뇌염 후유증인 파긴슨증으로 수십 년 동안 몸이 굳은 상태로 지내던 사람들에게 L-도파라는 약물을 투여해 극적으로 활동성을 되찾는 과정을 기록한 책 ‘깨어남’을 집필해 1973년 발표했다. 이를 원작으로 1990년 동명(Awakenings)의 영화가 만들어졌다(우리나라에서는 ‘사랑의 ... ...
언밸런스 다리의 주인은 누구일까?
팝뉴스
l
2020.05.14
팝뉴스 제공 해외 SNS 화제의 사진이다. 구두를 신은 가느다란 다리의 주인은 누구일까. 사진을 처음보면 남성 직원의 다리인 것 같다. 그런데 상의는 포멀한 정장이고 하의는 치마라니 너무 이상하다. 제 3의 여성이 옆에 서 있는 것일까? 그것도 아닌 것 같다. 그렇다면 앞에 있는 여성의 다 ... ...
하지마비 환자, 뇌파 인식모자 쓰고 로봇옷 입고 걷는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김래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바이오닉스연구단 책임연구원(왼쪽)이 뇌파로 조종하는 외골격로봇을 찬 채 움직이는 연구원을 지켜보고 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이달 13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선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검은 모자를 쓴 한 연구원이 외골격로봇을 착용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