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화
농축
압축
요약
축약화
응결
축합
뉴스
"
응축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구현해 루비듐 원자를 보세-아인슈타인
응축
상태로 만들었다.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이란 여러 입자가 동시에 하나의 양자상태에 놓일 수 있는 경우다. 이 상태에서 음파(포논)의 진행속도는 초속 0.5mm 정도다. 슈타인하우어는 몽블랑 만년필 모양의 길이 수mm인 관에 원자를 가둔 뒤 레이저로 ... ...
줄기세포의 운명, 힘주면 달라진다
과학동아
l
2016.08.14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전자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분화 신호에 따라
응축
돼 있는 DNA가 풀려야 하는데 외부 힘이 가로막은 것이다. 레 연구원은 “에머린이라는 근육 단백질과 관련이 있다”며 “근위축증 등 에머린 이상으로 발병하는 질병에 대해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 ...
우주판 ‘냉정과 열정 사이’ 초록 은하는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6.08.01
은하핵’ 참조), 이 때문에 별의 재료가 되는 가스를 은하 외부로 잃어버리거나 가스가
응축
되지 못했을 수 있다. 가볍고 어두운 빨간 은하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는 중심부의 초거대 블랙홀의 활동이 약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주변 환경에서 원인을 찾아야 한다. 과학자들은 이 같은 ... ...
[1989년] 가장 약한 파 중력파를 찾아
2016.02.12
어떻게 될 것인가? 이 경우에는 중력이 워낙 강하여 중성자별 상태로 견디지 못하고 계속
응축
되어 시공간에 일종의 구멍같은 것을 만든다. 이를 검은구멍(black hole)이라 부른다. '검다'는 것은 '볼 수 없다'는 뜻인데 그 이유는 중력이 너무 세어서 그곳에서는 빛까지도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 ...
바닷물에서 민물 만들려면 ‘태양열’이 제격
2015.12.08
펌프를 가동해 해수를 담수기로 옮긴다. 저압이 걸린 담수기 안에서 해수는 증발과
응축
과정을 거쳐 염분을 뱉어 내고 담수로 탈바꿈한다. 전남 여수에 구축된 태양열 해수담수화 플랜트.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에기원은 이 기술을 토대로 전라남도와 함께 여수 대경도에 1만L 규모의 ... ...
‘제2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거면 막을 수 있다
2015.09.08
열을 흡수해 수증기가 되면서 위쪽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부에서는 수증기를 다시 물로
응축
시키는 방식으로 노심의 열을 바깥으로 빼낼 수 있다. 방 교수는 “원전 사고 시 블랙아웃(전력 차단)으로 펌프가 멈춰 냉각수를 원자로에 공급할 수 없을 때 하이브리드 제어봉을 집어넣는 것만으로도 ... ...
‘불멸의 세포’ 막는 장애물의 정체는?
2015.06.28
말이 떠오를 정도로 화려하다. 표지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실타래처럼
응축
돼 있는 세포의 염색체다. 녹색은 염색체 ‘텔로미어’의 반복되는 염기서열(TTAGGG)이고, 빨간색은 DNA가 손상된 부분을 나타내는 마커다. 빨간색과 녹색이 겹쳐 있는 부분은 텔로미어에서 DNA 손상이 일어났다는 ... ...
스마트폰 물에 빠졌다구요? 침수(浸水) 라벨 믿지 마세요~
2015.06.02
많이 포함돼 있던 수증기가 갑자기 온도가 떨어지면 주변 물체에 붙어 이슬이 맺히는
응축
현상이 스마트폰 내부에서도 일어난다는 것이다. 윤 교수는 “바지 주머니에 스마트폰을 넣고 운동할 때, 찜질방에 갔을 때 등 권장 사용조건을 벗어나지 않아도 라벨의 색이 바뀔 수 있다는 의미”라며 ... ...
2㎛ 몸 속에 2mm 염색체, 어떻게 들어있을까
2015.02.23
70% 등으로 구성돼 있다”며 “몸집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엄청나게 긴 DNA는 자신을
응축
시켜 다른 입자의 움직임을 배려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21일 발간된 국제 학술지 ‘소프트 매터(Soft Matter)’ 2월호 표지논문으로 소개됐다.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화성과 목성과 사이에 있는 지점을 분기점으로 해서 그 너머에는 수증기가 얼음으로
응축
할 정도로 충분히 온도가 낮았고 그 결과 이곳에 있던 소행성들은 물(얼음)을 충분히 머금게 됐다. 태양계 형성 초기에는 목성 같은 거대 행성의 궤도가 불안정해 중력섭동이 일어났고 그 결과 소행성들이 ... ...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