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교
뉴스
"
전학
"(으)로 총 13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면과 암기력, 무슨 관계인지 보니
2016.05.13
주는 식으로 공포 반응을 학습시켰다. 이후 쥐가 잠들어 렘수면 단계에 들어갔을 때 광유
전학
기술을 이용해 일부 쥐의 뇌에서 기억에 관여하는 부위로 알려진 해마의 신경 작동을 껐다. 그 결과 렘수면 동안 방해받지 않은 쥐는 소음이 들리면 공포 반응을 보이거나 철로 된 바닥에 가까이 가지 ... ...
‘RC카’ 조종하듯 세포 소기관 조종하는 기술 개발
2016.04.17
루게릭병 등 신경질환 치료는 물론 항암치료에도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광유
전학
이란 피부를 투과할 수 있는 빛을 비춰 세포 내 단백질의 기능을 제어하는 새로운 연구 분야다. 연구팀은 청색 빛에 반응하는 식물의 청색광 수용단백질에 세포 소기관의 생체막에 존재하는 ‘랩 단백질’을 ... ...
빛과 열로 신경세포 활성 조절
2016.03.30
전기 자극의 경우 신경세포의 활성 촉진에는 용이한 반면 억제에는 효과가 적고, 광유
전학
기술은 신경세포 활성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지만 유전자 조작이 까다로워 한계가 있었다. 앞서 연구팀은 2014년 신경세포가 광열 자극에 노출될 때 활성이 억제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특정 파장의 빛을 ... ...
실명 위기 환자들, 광유
전학
기술로 다시 앞을 보게 될까
2016.02.23
약물 등 기존 방법으로는 원하지 않는 다른 세포에도 작용하는 단점이 있었지만, 광유
전학
기술은 원하는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한다”며 “빛으로 뇌 활동을 조절할 수 있는 꿈의 기술로 의료 분야와 신경과학 연구에서 활용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받았다. 불과 3년 사이 233회나 인용된 이 논문에서 저자들은 외부의 공포자극 없이 광유
전학
기술을 써서 공포 엔그램을 자극할 경우 쥐가 공포반응(몸이 얼어붙는 행동)을 보인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즉 쥐를 우리에 넣고 특정 소리가 날 때 바닥에 전기쇼크가 일어나게 하면(물론 죽을 정도는 ... ...
조조가 동탁 암살에 실패한 이유는 ‘입사각’과 ‘반사각’
2015.04.12
놓은 뇌과학 혁명에서 시작해 광섬유로 뇌 신경세포를 자극해서 기억을 치환하는 광유
전학
까지 뇌과학의 미래를 조망한다. 또 과거에는 공상과학(SF)의 소재로만 여겨졌던 텔레파시와 유체이탈 같은 현상에 대한 과학자들의 이해가 현재 어디까지 진척되었는지도 소개한다. 그리고 로봇에 마음을 ... ...
면역질환치료, 4D프린팅… 10년 뒤 유망기술 10선
2014.11.11
것으로 여겨졌던 면역질환 치료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각종 신약 개발에 유용한 광유
전학
기술을 선정해 질병없는 사회를 이룩하려는 의도다. ‘스마트한 사회’를 이끌기 위한 두 가지 기술은 ▲생체모방로봇 ▲ 학습분석기술이 꼽혔다. 스마트기기처럼 로봇이 쓰이고, 인간의 창의적 ... ...
안면홍조 '그녀' 못생김 어떻게 극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11.10
차 안에서 종철이 아무 의도 없이 자신을 슬쩍 만졌다는 이유로, 또 미숙네 반 학생이
전학
갈 때 한 번 안아줬다는 이유로 종철이 자신을 좋아한다고 착각한다. 그런데 종철은 또 다른 동료인 이유리(황우슬혜 분) 선생과 잠시 사귀던 사이. 그래서 미숙은 둘 사이를 감시하기 위해 유리의 집으로 ... ...
폭식증 일으키는 신경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1
않았다. 연구진은 유전자조작을 통해 신경세포가 빛을 받으면 작동하게 만드는 광유
전학
기술을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용 쥐의 머릿속에 광섬유를 이식한 후 두뇌 속 신경회로에 광신호를 흘려보냈다. 그러자 광신호로 허기를 일으키는 신경회로가 작동한 쥐는 이미 충분히 배가 부른 ... ...
기억 ‘복사·바꿔치기’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3.07.28
연구진은 생쥐를 안전한 1번방에 넣고 이 방에 대한 기억이 저장된 세포를 찾아냈다. 광유
전학
기술로 이 세포를 빛에 반응하게 만든 뒤, 쥐를 2번방에 넣었다. 빛으로 이 세포를 자극하자 쥐는 2번방에 있으면서도 1번방이라고 여겼다. 1번방의 기억이 복사된 것이다. 이때 쥐의 발에 전기 충격을 ... ...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