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상
형세
상태
외관
모양
모습
경우
스페셜
"
국면
"(으)로 총 13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달착륙 실패? 더 큰 미래세대 꿈 심은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젊은 세대답게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중요한
국면
마다 ‘셀카’ 사진을 찍기도 했고 3000만 페이지분량의 위키백과와 책, 사진, 히브리어 성경 등을 디지털화한 자료를 넣어 보냈다. 지구 궤도에서 달 궤도로 향하기 직전에는 자체 카메라로 이스라엘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밝혀질 수 있을까
2019.05.21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최근 수년 사이 생명의 기원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국면
을 맞고 있다는 얘기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최근 과학자들은 세포에서 일어나는 대사에 관여하는 분자들이 비생물 과정, 생체 촉매인 효소(단백질) 없이도 만들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속속 발견하고 있다. ... ...
[사이언스지식IN]남북 협력으로 북한 산림 푸르러질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5.09
요청해 국내 과학자들이 참여해 젓나무응애병임을 확인해 줬다”며 “교류가 경색되는
국면
이 혹시라도 찾아와도 (북한의 산림 복구 의지가 강해) 국제사회에서 학문적 교류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
남북 표준 단위 체계도 통일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정상회담 이후 대화
국면
이 조성됨에 따라 표준과학계에서도 통일된 단위체계 마련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2019년 5월 20일 세계 표준의 날을 맞아 새롭게 개정되는 국제 단위 체계 (SI)를 남과 북이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남북측정표준협력센터부터 건립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남북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
과학동아
l
2018.04.26
보도됐다. 평균 하루에 한 건 이상 기사화됐다는 의미다. 한반도의 과학기술이 협력
국면
으로 들어섰을 때 지질 및 광물자원 개발 분야는 가장 가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분야다. 남한은 세계 5~6위권의 광물소비국이지만, 수요 광물의 92.5%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게다가 첨단 산업의 재료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이미 병원성이 꽤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만일 전염성까지 높아진다면 사태가 새로운
국면
에 접어들 수도 있다. 그런데 SFTS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작은소참진드기는 주로 쥐 같은 동물에 기생하는데 어떻게 이처럼 짧은 시간에 한반도와 심지어 바다 건너 일본까지 건너가게 됐을까. 이에 대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깜깜한 곳에서 얻은 시료에서 시아노박테리아의 게놈이 해독되면서 이야기는 새로운
국면
으로 접어들었다. 즉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시아노박테리아는 실제 그 일부였던 셈이다. 게놈분석 결과 깜깜한 곳에서 살고 있는 시아노박테리아에는 예상대로 광합성을 하는 유전자 자체가 없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될 것이냐 학술지 ‘네이처 생태학&진화’ 2월 6일자에는 식충식물 연구가 새로운
국면
에 들어갔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일본 국립기초생물학연구소를 비롯한 다국적 연구팀은 호주에 자생하는 식충식물인 세팔로투스(Cephalotus follicularis)의 게놈을 해독해 식충식물 진화의 비밀을 어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11월 17일자에 수면과 관련된 유전자 두 개가 보고되면서 수면의 유전학이 새로운
국면
을 맞고 있다. 수면곡선의 한 예로 자정부터 오전 6시30분까지 잠의 기록이다. 깨어 있다가 비렘수면의 1단계로 들어가는 선잠을 시작으로 비렘수면이 점차 깊어지고 다시 얕아지다 어느 순간 렘수면(빨간색)이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예정이다. 진행을 늦추는 약물만 있을 뿐 치료제가 없는 신경퇴행성질환이 새로운
국면
을 맞고 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