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스페셜
"
모양
"(으)로 총 735건 검색되었습니다.
착용하면 깊은 잠 빠지는 헤드밴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1
연구진이 개발한 슬립루프 시스템은 잠에 들 때 착용해 밤새 착용하는 헤드밴드
모양
의 장비다. 수면중인 사람의 뇌 활동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전극과 마이크로칩이 내장돼 있는 헤드밴드다. 뇌에서 나오는 신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헤드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딥 ... ...
미국서 대규모 야생동물 코로나 검사 진행 중…재유행 대비 '코로나 저장고' 적발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바이러스라는 열쇠가 세포란 자물쇠를 푸는 것에 비유했다. 오코너 교수는 “종마다
모양
이 다른 자물쇠가 있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풀지 못하는 자물쇠도 존재한다”고 말했다. 어떤 동물이 어떤 자물쇠를 가지고 있는지 선제적으로 파악해야 또다른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의미다. ... ...
[프리미엄 리포트] 오미크론, 팬데믹의 마지막 주자일까
과학동아
l
2022.04.02
면역세포가 이를 외부물질로 인식해 항체를 만들어낸다. 만약 스파이크 단백질의
모양
이 다른 변이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항체의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자연스레 델타, 오미크론 변이에 맞는 차세대 백신에 대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 1월 제약사인 화이자와 모더나는 오미크론 기반 ... ...
[지구는 살아있다]제주도 우도에는 구르면서 자라는 돌이 있다
2022.04.02
만든 후 현미경으로 관찰했습니다. 그러자 홍조단괴가 자라면서 그린 나이테 비슷한
모양
이 나타났습니다. 나무처럼 홍조단괴도 여름에는 빨리 자랐고, 겨울에는 천천히 자랐다는 점을 알 수 있었죠. 시료를 채취해 연대를 분석하니 10㎝ 크기의 홍조단괴는 지난 수천 년 동안 자라왔다는 점도 알 수 ... ...
통가 대규모 화산 폭발 원인은 바닷물 급격한 기화 작용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훙가퉁가섬에서 8분 동안 대규모 분화가 발생했다. 화산재와 화산가스가 만든 기둥
모양
의 구름 높이가 당시 19.2㎞까지 솟구친 것으로 관측됐다. 분화 직후 쓰나미가 발생해 1만㎞나 떨어진 남미 대륙에도 피해를 입혔다. 이 화산은 인도 호주판에 위치한 토푸아 화산대에 있는 많은 화산 중 ... ...
나노소재 대표주자 '탄소나노튜브' 형성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촉매 표면 위에 모자를 쓴 것 같은 구조를 뜻하는 것으로 탄소나노튜브가 원통
모양
처럼 보이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합성 반응 초기에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현상이 없다면 촉매 표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성장해 속이 빈 원통 형태 대신, 탄소 원자와 촉매 입자가 구 형태 촉매 표면을 완전히 ... ...
명왕성에는 얼음입자를 분출하는 화산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온도 때문에 물과 질소 얼음 등이 화산처럼 분출되는 원리다. 연구팀은 명왕성의 하트
모양
지형 '톰보 지역'의 중앙 좌측 일부인 스푸트니크 평원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했다. 뉴호라이즌스에 달린 관측 장비는 1km 크기의 지형도 식별이 가능하다. 스푸트니크 평원 중에서도 남서쪽에 위치한 약 1 ... ...
눈동자도 못 움직이던 루게릭병 환자, 뇌에 칩 심고 "멋진 아들 사랑해"라고 말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3
어레이 중 하나. 가로세로길이가 3.2mm인 정사각형
모양
이다. 이 어레이에는 바늘
모양
전극 64개가 달려 있어 뇌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스위스 비스생물학및뇌공학센터 ... ...
[과학게시판] DNA메모리·바이오닉 슈트 등 미개척 융합기술개발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23
수만 개를 규칙적으로 배열한 뒤 구멍에 블록코폴리머를 넣고 전계를 걸어 비눗방물
모양
의 구조물을 만든 뒤 외부를 다공성 하이드로젤로 채워 고정해 50일 이상 형태를 유지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DNA 역할을 예측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19
꼬여있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비부호화 DNA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아미노산 사슬을
모양
이 잘못 잡혀 단백질이 본래 기능이 바뀌거나 상실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수백만 개의 비부호화 DNA를 효모에 삽입하고 각각이 단백질 발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해 만든 데이터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