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물학
생명
스페셜
"
생명체
"(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문명 등장 이후의 지구를 본 별 얼마나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있다는 시점전환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새롭다. 천문학자들은 이번 연구가 외계
생명체
탐사 목표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칼테네거 교수는 “이들 별은 우주라는 거대한 극장의 가장 앞좌석에 앉아 인류를 지켜보고 있는 것과 같다"며 "인류가 우주를 ... ...
태양계 불지옥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8
될 수 있다. NASA는 2019년 금성이 7억 년 전 온실효과가 나타나기 전까지 지구와 같은
생명체
가 살 수 있었다는 분석을 내놨다. NASA가 발사할 '다빈치+'는 금성의 두꺼운 대기를 통과하는 구 형태의 관측장비로 금성의 대기 조성을 측정한다. 베리타스는 금성 표면을 분석해 금성의 지질학적 역사를 ... ...
생명체
존재 가능성, 행성 탄생 과정에서 정해진다
과학동아
l
2021.06.04
미국 라이스대 지구, 환경 및 행성학과 연구원팀은 행성 발달 과정과 주변 환경에 의해
생명체
거주 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 5월 10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61-021-00733-0 연구팀은 초기 행성의 발달 과정을 살펴 보기 위해 고압 환경을 연구했다. ... ...
NASA, 32년 만에 금성 탐사 재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영국 카디프대 연구팀이 금성 대기 구름에서 수소화합물 포스핀을 발견했다고 발표하며
생명체
발견 가능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됐다. 포스핀은 산소가 없는 곳에서 서식하는 혐기성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배출할 수 있다. 이후 미국이 금성 탐사에 다시 관심을 가진 것 ... ...
목성 위성 '유로파' 해저화산 활동 있을만큼 내부 뜨겁다
연합뉴스
l
2021.05.28
탐사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생명체
탐사가 목표는 아니지만, 근접 관측을 통해 유로파가
생명체
를 지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는지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주 어딘가에 반물질로 이뤄진 반별이 있을까
2021.05.11
여기서 인위적인 신호가 포착되지 않는 한
생명체
의 존재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외계
생명체
가 있다고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다. 영국의 물리학자 프랭크 클로우스는 지난 2009년 출간한 책 ‘반물질’에서 “AMS위성이 대기권 위에서 반물질을 탐색했고 남극 상공에 기구를 띄워 반물질을 ... ...
태양탐사선 '파커' 중력도움 비행 중 금성 전리층 30년만에 통과
연합뉴스
l
2021.05.04
크기나 질량, 밀도 등도 비슷하지만 산성비가 내리고 납도 녹아내릴 만큼 고온이어서
생명체
가 살 수 없는 행성이 됐다. 콜린슨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3일 발간된 국제학술지 '지구물리학 연구 회보'(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발표했다. 콜린슨 박사는 이번 연구를 자동차 무임편승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ATCG가 아니라 ZTCG로 이뤄진 바이러스
2021.05.04
여전히 dZ-DNA를 지닌 종류가 살고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 지구 어딘가에 이런 세포
생명체
가 살고 있다는 상상만으로도 즐겁다. 시아노파지 S-2L을 비롯한 몇몇 바이러스의 게놈은 아데닌(A) 대신 2-아미노아데신(Z)을 쓴 dZ-DNA로 이뤄져 있다. 최근 이들 바이러스 게놈의 PurZ 유전자와 DpoZ 유전자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통제감 환상, 의지력처럼 보이는 잘 포장된 객기
2021.05.01
어떻게 발목 상태가 나쁠 수 있지" 같이 앞뒤가 맞지 않는 질문처럼 들렸다. 일반적인
생명체
의 뼈와 관절은 충격을 받으면 부러지기도 하고 잘 회복되지 않는다. 하지만 마치 자신의 발목만큼은 티타늄으로라도 만들어져있는 양 절대 수술이 필요할 정도로 상할리가 없다고 생각했다는 점이 되려 ... ...
남극 바다 수심 2000m 해저에서 발견된 대형 화살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새로운
생명체
인 ‘키와게’와 다리 일곱개를 가진 불가사리를 발견한 바 있다. 열수
생명체
인 키와 게(사진 왼쪽부터 3개)와 일곱다리 불가사리(맨 오른쪽). 극지연구소 제공 2017년 발견된 화살벌레는 동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으로 5억 4000만년 전 지구 상 동물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시기에 처음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