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문용어"(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14.04.14
- 전통적으로 직립보행은 호미니드(hominid)를 말해주는 보증서였던 반면, 두뇌의 크기는 호모속(屬) 성원을 가려내는 표지였다. 그러다가 1964년 루이스 리키와 영국의 해부학자 존 네이피어, 남아프리카의 고인류학자 필립 토비어스, 이 세 사람이 1960년 올두바이에서 발견한 작은 두뇌의 화석에 호 ...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동아사이언스 l2014.04.10
- 학자들이 영국의 산업혁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현대문명의 단초가 산업혁명의 여파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 말은 산업혁명을 이끌어 준 역군이 있었다는 뜻인데 일반적으로 산업혁명이라면 제임스 와트(James Watt, 1736∼1819)의 증기기관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그것은 와트의 증 ... ...
- “급변하는 환경 반영한 새로운 나노 정책 필요”동아사이언스 l2013.08.22
-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제공 “나노기술과 산업 환경은 급변하고 있습니다. 이를 잘 반영해 정책을 세우고 그대로 추진해 간다면 나노기술에 기반한 융합산업은 창조경제의 핵심이 될 수 있습니다.” 21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 분원에서 만난 김창우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
- "과학자들 사회문제 외면하면 존재 의미없어"동아사이언스 l2013.07.29
- ,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기획과 김보열 과장 “바이오 분야야말로 최근 공공연구 분야에 대해 요구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의 최선봉에 서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연구가 고령화 사회 대응이죠. 이를 위해 노인들의 건강과 활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액티브 에이징'(Active Aging) 사업도 ... ...
- 인체 장기의 '네트워크'를 자극하는 스트레칭과 침술동아사이언스 l2013.07.04
- 동아일보 제공 스트레칭과 침술. 얼핏 들었을 때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용어들이다. 그리고 첨단을 달리는 서구 과학기술의 눈으로 볼 때 분명 비주류에 속하는 분야들이다. 하지만 의외로 이들 분야가 인체의 질병 치료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는 주장이 서구 과학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스트 ... ...
- 불확실성 1.KOITA l2013.05.09
- 예측의 혼란이 가져오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어두운 미래’ 보다 ‘불확실한 미래’에 있다. 요즘과 같이 국내외적으로 경영환경의 불안 요인들이 넘쳐나는 이때, 많은 기업이 미래를 알 수 없다는 불안감으로 출발해 미래에 대비할 수 없다는 무기력감마저 사로잡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번 호 ... ...
- 게임 산업과 아타리 쇼크KOITA l2013.05.03
- 역시나 관건은 ‘콘텐츠’였다. 소니의 계열사인 SCE(소니컴퓨터엔터테인먼트)는 지난 2월 21일 미국 뉴욕에서 차세대 게임 콘솔, 플레이스테이션4(이하 PS4)를 발표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 닌텐도의 위(Wii)와 함께 콘솔 게임계의 트로이카를 형성중인 SCE이 야심차게 첫 펀치를 날렸지만 시장의 ... ...
-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2012년에 나노기술을 접목해, 유전자 칩 기술을 개발한 적이 있어요. 세포 내에 있는 나노단위 미세 구조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었는데, 이 기술은 국내 한 특허사업화 전문기업에 고가로 팔렸어요. 나노기술을 접목해 흔한 유전자 칩 기술을 업그레이드 한 결과죠.” 나노(NANO)란 ‘10억분 ...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KOITA l2013.04.26
- 모든 소비재 시장 중 가장 변화가 빠른 분야는 아마도 모바일 관련 시장일 것이다. 고작 5년 전인 2008년만 하더라도 스마트폰은 극소수 얼리어댑터들이 ‘갖고 놀기 좋은’ 기기 취급을 받곤 했다. 그러나 2013년 현재 스마트폰은 이동통신의 주력상품이자 IT 기술의 최전선으로 대접받는다. 최신 스 ...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우즈의) 1977년 논문은 미생물 분야 아니 생물학 전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논문 가운데 하나다. 이 성과는 왓슨과 크릭(DNA이중나선 발견)이나 다윈(진화론 제안)의 업적에 맞먹는 것으로 미생물 세계의 놀라운 다양성에 대한 진화론적 뼈대를 제공했다. - 저스틴 조넨버그, 스탠퍼드대 미생물 ... ...
이전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