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스페셜
"
최초
"(으)로 총 1,5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아태 측정표준 협력기구 젊은 과학자상에 표준연 이석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21
국제적으로 선도적이고 탁월한 업적을 이룬 학자에게 수여한다. 김 석좌교수는 세계
최초
로 컴퓨터를 이용해 기계장치를 자율적으로 설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새옹지마...에이즈와 HIV감염, 항암제
2022.12.06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물질중에 새로 발견된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최초
의 HIV 치료제는 아무 데도 쓸데없는 물질 지도부딘(zidovudine, azidothymidine)이다. 지도부딘은 1964년에 호로위쯔(Jerome Horwitz)가 항암제로 사용하기 위해 처음 합성했다. 이 약은 DNA를 구성하는 네 가지 염기중 T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발생하지 않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지만
최초
의 백신이 지구역사상
최초
로 사람의 감염병을 퇴출시키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그동안 수많은 종류의 새로운 백신 제조법이 개발되었지만 종두법만큼 효과가 좋은 백신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종두법은 한 번 접종으로 평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아미노산 174개로 이뤄진 단백질이라 선택했지만 복제 정확도가 떨어지고 속도도 느려
최초
라는 타이틀에 만족할 뿐 써먹을 데가 없었다. 이듬해에는 아미노산 352개로 이뤄진 고세균 설포로부스의 P2 DNA중합효소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앞서 효소보다는 더 정확하고 열에 대한 안정성도 높았지만 ... ...
서울 강남 첫 '도심형 스마트병원' 2029년 건립...강남세브란스병원 청사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13
제공 강남세브란스병원이 새병원 건립 사업의 단계별 계획안을 확정했다. 서울 강남지역
최초
‘도심형 스마트병원’을 마련한다는 청사진도 함께 공개했다. 1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송영구 강남세브란스병원장은 “가장 진보한 정보통신기술(ICT)과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아인슈타인도 설명 못한 양자현상, 실험으로 증명하다
2022.10.05
베넷 등이 제안한 텔레포테이션 이론을 실험실에서 광자들의 얽힘을 이용하여 1997년에
최초
로 구현했다. 이어서 두 개의 양자 얽힘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얽히지 않았던 광자들을 얽히게 만드는 기술을 발전시켜 장거리 양자 얽힘의 구현과 이를 이용한 장거리 양자 통신의 초석을 놓았다. 또한 두 ... ...
[노벨상 2022] 양자컴퓨터·양자통신 시대 연 과학자 3명, 물리학상 영예(종합)
2022.10.04
멀리 떨어진 입자로 이동할 수 있는 ‘양자 순간이동’이라는 현상을 시연했다. 세계
최초
로 양자통신 실험에 성공한 것이다. 차일링거 교수의 제자인 판젠웨이 중국과학원(CAS) 소속 중국과학기술대 교수는 지난해 1월 4600km 떨어진 곳에서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구현하는 데 성공하고 국제학술지 ... ...
권성동 "文정부 기관장 사퇴 압박, 고발해야"...고성 오간 과방위 국감
2022.10.04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은 국가가 지원해 세계
최초
로 상용화한 5G 기술이 정작 국민의 만족도가 떨어진다는 점을 지적했다. 윤 의원은 "9월 16일~22일 블라인드 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5G 서비스 품질에 대해 만족한다는 답변은 33%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1920년대 소련의 생화학자 알렉산드르 오파린은 코아세르베이트가 초기 지구에 나타난
최초
의 세포이고 그 뒤 점점 복잡해져 오늘날 세포 생명체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생명의 기원을 설명하는 그의 ‘코아세르베이트 가설’은 오랜 세월 주목을 받았지만, 1980년대 ‘RNA 세계 가설’이 나오면서 ... ...
[노벨상 2022] 미라·고대인류 뼈 ‘덕후’ 첫 생리의학상 안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최초
로 분석해 주목을 받았다. 고대 네안데르탈 뼈 유적에서
최초
로 유전자 서열을 분석해 2010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2014년에는 알타이 산맥에서 발견한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에서 현생 인류와 이종 교배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